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을 理氣二元의 관념론자라고 규정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Research Defining Yulgok as an Idealist of Li-Qi-Yeewon(理氣二元) in North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2
35P 미리보기
율곡을 理氣二元의 관념론자라고 규정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13호 / 41 ~ 75페이지
    · 저자명 : 정연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향후 남북한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율곡학을 연구하여 발전시킬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차원에서 율곡을 이기이원(理氣二元)의 관념론자라고 규정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 연구자들은 율곡이 유물론에 입각한 화담의 기일원론(氣一元論)과 신비적 관념론에 입각한 퇴계의 이일원론(理一元論)을 절충하여 유물론적 요소를 포함한 독자적인 이기이원의 관념론을 구축했다고 평가한다. 그런데 북한 연구자들은 『율곡전서』의 내용을 유물론의 관점에서 단장취의(斷章取義)하여 율곡의 이기론을 서술하는 문제가 있다. 율곡이 화담과 퇴계의 이기론을 비판한 본질적 의미를 살피지 못하고, 화담과 퇴계의 이기론을 비판한 율곡의 사상사적 위상을 유물론의 관점에서 자의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이기무선후설(理氣無先後說)을 유물론으로 분류하고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을 관념론으로 분류하면서 두 가지 설을 아우르는 율곡의 이기론이 관념론으로 치우치게 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밖에 이기지묘(理氣之妙)와 관련하여 무위한 이(理)가 기를 주재하는 작용성이 있다는 이(理)의 체용(體用)에 관한 율곡의 이기론을 논하지 않고, 이(理)의 무위성만으로 논리를 전개하여 타당성을 잃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북한 연구자들이 제시한 논거를 『율곡전서』의 원문 내용과 일일이 대조하면서, 율곡의 태극음양론과 사단칠정론과 이통기국론을 중심으로 율곡의 이기론을 이기이원의 관념론이라고 주장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비판하였다.
    향후 남북한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율곡학을 연구하여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유물론에 입각한 북한 연구자들의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근래 북한의 연구에서는 성학 공부론의 관점에서 경(敬)을 중심으로 하는 퇴계의 이도설(理到說)을 높이 평가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북한 연구자들의 태도 변화는 남북한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율곡학을 비롯한 조선유학을 연구하여 발전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the precedent studies in North Korea, which defined Yulgok’s Liqi theory(理氣論) as the idealism of Liqi-yiwon(理氣二元), were critically examined so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n which the researchers in North and South Korea can explore the possibility in cooperation in order to develop Yulgok studies in the future, can be formed.
    The precedent studies in North Korea assessed that Yulgok had established his own idealism of Liqi-yiwon(理氣二元) including materialistic elements by compromising Hwadam's Qi-ilwon theory(氣一元論) based on materialism and Toegye's Li-ilwon theory(理一元論) based on mystic idealism. Yet, the researchers in North Korea had the problem of selecting and quoting from “Yulgokjeonjeo” only the contents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ism. They also failed to figure out the essential meanings of Yulgok’s criticism of Hwadam’s and Toegye’s Liqi theory, and arbitrarily evaluated the status of Yulgok, who had criticized Liqi theory of Hwadam and Toegye, in the history of thought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ism. In addition, categorizing Liqi-museonhuseol(理氣無先後說) into materialism and Liseongihuseol(理先氣後說) into idealism, they defined Yulgok’s Liqi theory covering the two theories as the idealism including materialistic elements, but it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tents. Moreover, their reasoning and grounds of argument were not valid enough because of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f Yulgok’s Liqi theory that explains that Li(理) of Muwi has the function of leading Qi as Li’s Cheyong(體用), while discussing Liqi-jimyo(理氣之妙).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arguments and their grounds of North Korean researchers were compared one by one with the original texts of “Yulgokjeonseo”. And, focusing on Yulgok’s Taegeukeumyang theory(太極陰陽論), Sadanchiljeong theory(四端七情論) and Yitonggiguk theory(理通氣局論),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opinions defining Yulgok’s Liqi theory as the idealism of Liqui-yiwon(理氣二元) were criticized.
    Yulgok didn’t establish Liqi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ism or idealism. He developed Liqi theory from the stance of the study theory of Seonghak(聖學), which builds Seongseon(性善) and makes one’s disposition change. For the researchers in North and South Korea to develop Yulgok’s Liqi theory in cooperation in the future,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need to change their viewpoint of Yulgok studies. The recent precedent studies in North Korea have changed because the theories of ethics of Joseon Confucian scholars are particularly being emphasized, and Toegye’s Yidoseol(理到說) centered around Gyeong(敬) is being highly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of Seonghak study beyond materialism. Theses changes in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attitudes imply the possibility that the researchers in North and South Korea develop Confucianism of Joseon including Yulgok studies together. Accordingly, the researchers of North and South Korea are expected to gather and study Yulgok studies together from the viewpoint of Seonghak stud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