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兒戱原覽』의 文獻的 성격에 관한 硏究 (A Study on Educational Encyclopedia 『A-hi-won-ram(兒戱原覽)』)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0.09
42P 미리보기
『兒戱原覽』의 文獻的 성격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44호 / 215 ~ 256페이지
    · 저자명 : 박종성

    초록

    본고는 閭巷人 張混에 의해 편찬된 교육용 서적 『兒戱原覽』의 문헌적 성격에 관해 고찰하였다.
    『아희원람』은 그간 교육학계를 중심으로 주목을 받아 왔지만,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 서적의 성격을 초학교재에 한정시켜 논의한 결과, 서적의 진면목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했다. 특히 이들 연구에서는 어떠한 객관적인 검증과정도 없이 당시 서당에서 주교재로 사용된 초학교재였을 것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를 인식하고 수록되어 있는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아희원람』이 한 부의 類書임을 밝히고, 그 동안 조명되지 못했던 유서로서의 면모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과정에서, 『아희원람』이 기존의 문헌에서 자료를 취하고 이를 인용하여 내용을 재구성하는 유서의 일반적인 기술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의 다른 일반 유서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곧 편찬 과정에 조선 후기 백과전서적 유서의 선구인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영향을 받았으며, 조선 후기 유서의 결정체로 불리는 조재삼의 『송남잡지』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인용 관계에 대한 중점적인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 유서 가운데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이들 문헌과의 관계는 『아희원람』의 성격을 유서로 파악하는 본고의 시각에 더욱 설득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한편 『아희원람』은 분명 유서의 일종이지만 일반적인 유서와는 다른 초학자들의 학습용으로 편찬된 유서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초학자들의 학습용으로 편찬된 유서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몇 가지 특징들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그간의 『아희원람』을 초학교재로 규정하는 검증되지 않은 시각을 지양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문헌적 성격을 근간으로 하여 『아희원람』의 성격을 초학자들의 학습을 위해 편찬된 학습용 유서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아희원람』은 선행 연구에서 의도하는 수업현장에서 강독용으로 사용된 주교재가 아닌 학습의 보조자료로서 활용된 참고서적이라는 것이 본고의 시각이다.
    본 연구는 『아희원람』이 지니고 있는 유서로서의 면모를 밝히는 첫 걸음을 했을 뿐, 향후 자료에 대한 더욱 면밀한 검토와 정확한 고증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이어서 앞으로도 『아희원람』의 실상을 밝히는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A-hi-won-ram(兒戱原覽)』 was compiled by townsmen Jang-hon(張混). After that, it was published by many writer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has many different editions now. The encyclopedia is classified by categories and contains a variety of stories such as common senses in daily life, the origin of things and phenomena, mysteries, eccentric people in successive generations. So far, 『A-hi-won-ram(兒戱原覽)』 has been known as a elementary textbook used in a village school.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for that. Nevertheless, most of previous studies defined 『A-hi-won-ram(兒戱原覽)』 as a elementary textbook without any objective verification and even gave the meaning to it as a modern type of elementary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find the true aspects of 『A-hi-won-ram(兒戱原覽)』.
    According to this study, 『A-hi-won-ram(兒戱原覽)』 is educational encyclopedia for a beginner. Considering many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 were published in 18C and 19C, we presume that 『A-hi-won-ram(兒戱原覽)』 could be compiled under that academic atmosphere. To support the study, classcification by categories and compilation of the data, these two attributes of a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 are analyzed. We als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A-hi-won-ram(兒戱原覽)』, 『Ji-bong-yu-seol(芝峯類說)』 written by Yi-Su-Kwang(李睟光), 『Song-nam-jab-ji(松南雜識)』 written by Jo-Jae-Sam(趙在三) to make this study more persuasive.
    『A-hi-won-ram(兒戱原覽)』 is obiviously a kind of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 but it was published for an educational elementary textbook and had a format of summary. To lay out a logical basis for this, we examined special features of 『A-hi-won-ram(兒戱原覽)』 to differ from other normal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a new viewpoint about 『A-hi-won-ram(兒戱原覽)』. It is not only an elementary textbook and also educational encyclopedia for beginners. Following this study, we expect that many aspects of 『A-hi-won-ram(兒戱原覽)』 should be examined by future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