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顔元의 비판정신과 인문학의 반성 (Yan Yuan(顔元)‘s critical spirit and reflection on human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顔元의 비판정신과 인문학의 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62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덕삼, 이경자

    초록

    顔元은 明末淸初에 살았던 혁신적이고 실천적인 사상가로서, 시대적 변화에 무능하게 대응하는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공자의 원래 가르침을 회복하자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실천과 習行의 방법을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비판과 대안이 오늘 한국의 인문학이 처해있는 상황에도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안원의 비판정신으로 한국의 인문학을 조명해 보았다. 특히, 본고에서 눈여겨 본 것은 두 가지다. 첫째, 시대적 요구에 입각한 비판정신이다. 둘째, 비판에 대한 대안과 실천이다. 이를 위해 안원의 생애와 비판정신을 알아보고, 안원이 비판한 관점을 근거로 한국의 인문학을 투영해 보았다. 안원의 비판은 동시대 학자와 달리 용감하고, 명확한 대안과 실천이 수반되었다. 그 요체는 이치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실천하는 실학적 방법에 있다.
    이러한 안원의 비판은 4세기가 지난 오늘 여기의 인문학에도 적용된다. 시대와 대상은 달라도 안원이 비판한 성리학과 오늘의 인문학이 처해있는 상황에는 비슷한 점이 많다. 지금 인문학에 대한 비판은 안원이 용기를 내어 성리학을 비판한 것처럼 쉽지 않다. 또한 지금의 인문학에게도 인문학의 이치, 즉 인문정신의 올바른 파악과 이를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문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인문학에 대한 주체의 파악, 과거의 학문적 방법에서의 탈피와 보다 정밀한 연구 자세 등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현대 문명과 다양한 학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인문학이 아닌 인문정신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오랜 역사 속에서 인문학은 선인들의 과거와 거기에서 존재했다. 그러나 안원이 당시의 무능한 학문을 비판하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주문한 것처럼, 인문학도 인문정신을 제대로 살려 여기와 지금의 인문학을 실천해야할 것이다.

    영어초록

    Yan Yuan(顔元) lived in the late Ming and the early Qing dynasty as innovative and practical thinker while criticizing the incompetence of Neo-Confucianism and claiming to recover the teachings of Confucius. At the same time, he presented the methods of practice and practical philosophy(習行) as an alternative.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judgement that criticisms and alternatives of Yan Yuan are valid even today for the situ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Korean humanities is reflected by the viewpoints of Yan Yuan.
    In particular, two points are focused on this paper. First, it is a critical spirit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Secondly, it is an alternative to the criticism and practice of alternative. To this end the life and critical spirit of Yan Yuan is examined and the humanities in Korea is reilluminated by the viewpoint of Yan Yuan. Criticism of Yan Yuan was more cynical than those of his contemporaries, and also was accompanied by alternatives and practices. The keypoint of Yan Yuan’s criticism and alternatives was to grasp the essence of thing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correctly and to practice the same.
    This critical spirit of Yan Yuan can be also applied to the humanities today.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circumstances Neo-Confucianism of Yan Yuan’s day and humanities today face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the era and the culture. To criticize humanities today is also as difficult as Yan Yuan criticized Neo-Confucianism. In today's humaniti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spirit and attitude to practice it is also required. In this regar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rrect definition of humanitie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humanities , breakthrough with the past academic way and precise and more detailed research attitude are needed. To do so, modern civilization and the various disciplines are utilized actively. At the same time, ultimately humanities spirit rather than humanities is necessary to be recovered.
    In the long history of humanities, humanities has existed in the distant space and times called as our ancestors’ culture. However, humanities today should be alive practicing the humanities of here and now by restoring humanities spirit correctly as Yan Yuan criticized the incompetent academism of that times and is required to fac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