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甲午改革 以後 內藏院·經理院의 公文書分類· 管理: 접수스탬프의 분석을 중심으로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Management of Naejangwon (內藏院)-Kyungriwon (經理院)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0.12
50P 미리보기
甲午改革 以後 內藏院·經理院의 公文書分類· 管理: 접수스탬프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37호 / 321 ~ 370페이지
    · 저자명 : 김도환

    초록

    이 논문은 대한제국 시기 내장원·경리원 공문서의 접수스탬프를분석하여 그 문서 분류와 관리방식을 밝히고 그것이 현재 규장각에 소장된내장원․경리원 자료의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내장원·경리원에서는 1902년 7월부터 공문서를 照會, 訴狀, 報告書 등 종류별로 구분한 뒤 이를 다시 道別로 구분하여 접수스탬프를 날인하였다. 실무 문서였던만큼 담당 부서에 배부되어 문서가 흩어져 보관되었다. 이들 문서는 해당 부서에 보관되다가 황실재정 정리과정에서 일제가 주도하던 帝室財産整理機構에 인계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서의 분류는 오히려 흐트러지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그 결과 『經理院可考件』과 같은 형태의 재분류․재정리가 필요한 자료들이 형성되었다. 이들 문서철의 성격을 밝히고 떨어져 있는 문서들을 서로 연결시켜 줄 때 규장각에 소장된 대한제국 시기의 공문서철은 사료로서 더욱 가치를 갖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clarified the document classification and its management method by analyzing the receipt stamp of the official documents for Naejangwon-Kyungriwon in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receipt stamp on the documents for Naejangwon-Kyungriwon which are currently collected in the Kyujanggak. Historically, Naejangwon-Kyungriwon classified official document by sort and re-classified the documents by province. Inasmuch as these were the documents for practical business, they were distributed to the department in charge to be preserved in a scattered manner. These documents had been preserved in the proper department until they were handed over to the organization for royal family finance re-adjustment l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process of readjusting the royal family finance. In this process, the document classification assumed the aspect of being disheveled, and as a result, the materials requiring the form of re-classification and re-adjustment like "Kyungriwongagokeon(經理院可考件)" were said to be piled up.
    The docu-receipt stamp system was introduced by each governmental organ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about document management included in Article 65 "Rules of document transfer between each governmental department and subdivision" which was prescribed in the period of the Kabo(甲午) Reform of 1894, and not until July, 1902 did the Naejangwon, which was under the control of the royal family, introduce this system. The fact that such a late introduction of docu-receipt stamp system means that the royal family was relatively freer than governmental organs in every sort of reform on which Japan exercised its influential power.
    The Naejangwon and its later self-Kyungriwon gave the receipt number by classifying the received documents into "Inquiry(照會)", "Written Complaint(訴狀)", and "Report(報告書)", etc. according to the sort of documents, and re-classifying the sorted documents by province. There were the documents for practical business, so they were once separately preserved after being distributed to the proper division in charge. Going over the "Directory concerning document transfer(引繼에 關한 目錄)", these document files were classified at least by document sort or year though they were scattered. However, after these documents were transferred to the organ for 'The Bureau of Royal Property Adjustment'(帝室財産整理機構), their classification came to be rather in disorder.
    The document file looking topsy-turvy with a lot of inclusion of books void of reports like "Kyungriwongagokeon" was also slipped out of its original document file for the sake of practical business purposes. In this process, the report, which was the main document, came to remain in report files, and the publications were returned after being remitted, but they came to get together without being put back in their place; since then, they have come to this present state without the process of re-classification and re-adjus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