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워필드의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에 대한 비판 (Warfield's Criticism of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3
37P 미리보기
워필드의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에 대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 수록지 정보 : 갱신과 부흥 / 21호 / 151 ~ 187페이지
    · 저자명 : 조윤호

    초록

    B.B. 워필드(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는 청교도의 후손이었다. 그는 개혁주의 신앙을 유산으로 삼는 가정에서 자랐으며, 이러한 성장과정은 그의 신학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교수였던 워필드는 성경을 바탕으로 한, 초자연주의를 추구하는 신학자였다. 따라서 펠라기우스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를 나타내고 있는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신학 위에 세워진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워필드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워필드는 웨슬리의 가르침을 따라 ‘그리스도인 완전교리’를 말하고 있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를 이방인의 사상을 구하는 교리라고 단정한다. 찰스 피니(Charles G Finney)와 함께 ‘오벌린 완전주의’를 이끌었던 아사 마한(Asa Mahan) 그리고 스미스 부부(Mr. and Mrs. Pearsall Smith)와 윌리엄 보드만(William Edwin Boardman)이 주장하는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사람의 의지가 주관이 되었으며, 여기에 대해 하나님은 피동적인 모습으로 비춰졌다. 워필드의 지적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The Higher life movement’와 ‘승리한 삶의 운동(The Victorious Life Movement)’ 그리고 ‘케직 운동(Keswick Movement)’은 그 교리가 완전주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뿌리가 웨슬리에게로 하나를 이루게 된다. 완전주의 교리는 성화를 현재에 달성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그것이 사람의 의지의 결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주장하고 있었다. 워필드는 이러한 완전주의가 기독교를 위태로운 상태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워필드는 칭의와 성화를 하나님의 택한 백성을 위한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인 새 언약의 관점에서 본다. 그러나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우리의 의지를 통해 이루어갈 성취를 말하고 있다. 워필드의 분석에 따르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칭의와 성화를 연결되어진 것으로부터의 구별이 아니라 다른 성질에 따른 구별로 보고 있다. 심지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아담의 죄’와 ‘의의 전가’를 거부하며, 각 개별자의 신앙에 의해 의롭게 되어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워필드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가 어떻게 해서 개혁주의로부터 인정받을 수 없는지 예리하게 분석해나간다. 여기에 대한 대표적인 책이 워필드의 Perfectionism이다. 워필드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성화론이 개혁주의적 관점에 서 있다는 것을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의 분석을 통해 밝힌다. 그리고 자유주의 신학으로 인하여 흔들리고 있는 개혁주의 교리를 지켜내고자 하는 그의 열정을 우리는 이 글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완전주의라는 용어로 요약된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대중적인 선동의 효과는 누렸지만, 우리를 영원한 생명의 길로 인도하는 교리가 아니라는 것을 워필드는 가르쳐주고 있다.

    영어초록

    B.B. Warfield(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was a descendant of the Puritans. He grew up in a family who inherited the Reformed faith, and this process of growth has a great influence on his theology. Warfield, Old Princeton seminary professor, was a biblical, theologian who pursued supernaturalism. Therefore,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was based on John Wesley’s theology of Pelagianism and Arminianism, was the subject of Warfield's criticism. Warfield concedes that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is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following Wesley’s teachings, is a doctrine of seeking the ideas of the Gentiles. Asa Mahan and Mr. and Mrs. Pearsall Smith and William Edwin Boardman, who led the ‘Oberlin Perfectionism’ with Charles G Finney,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as dominated by the will of man, and God was shown to be passive in this regard.
    As indicated by Warfield’s point of view, ‘The Higher life movement’, ‘The Victorious Life Movement’ and ‘Keswick Movement’ derive their doctrine from perfectionism and its roots become one with Wesley. The doctrines of perfectionism regarded sanctification as being attainable at present, and argued that it was done by the determination power of man's will. Warfield points out that this perfectionism is driving Christianity to a state of peril. Warfield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the point of the new covenant, the Mediator work of Christ for the chosen people of God. but, “the Higher life” doctrine of sanctification speaks of accomplishment through our wi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arfield,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distinctions to different qualities, not distinctions from connected ones. Even the doctrine of “The Higher life” denies ‘Adam's sin’ and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says it is justified by each individual's faith.
    Warfield sharply analyzes how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is not recognized by reformism. A representative book on this is Warfield's Perfectionism. Through this book, Warfield reveals that his own sanctification is in a reformist perspective through analysis of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And we can see through this article his passion to preserve the doctrines of Reformedism that are shaken by liberal theology. And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hich is summarized in terms of perfectionism, has enjoyed the effects of popular agitation, but Warfield teaches us that it is not a doctrine that leads us to the path of etern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과 부흥”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