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야마나카 사다오(山中貞雄) 시대극 영화의 현실 재현 양식 (The Representational Style of Reality in Sadao Yamanaka"s Period Drama Film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8
32P 미리보기
야마나카 사다오(山中貞雄) 시대극 영화의 현실 재현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42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임철희

    초록

    본 연구는 일본영화사에서 첫 번째 황금기로 거론되는 1930년대,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분한 작가 연구와 영화 미학적 담론이 형성되지않은 감독 야마나카 사다오(山中貞雄 1909~1938)의 시대극 영화가 그려낸 현실 재현 양식을 고찰한다. 그는 1932년 데뷔작부터 1937년 마지막 작품에이르기까지 약 6년간 총 20여 편의 영화를 연출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대부분 작품이 소실되고, <단게 사젠 여화: 백만 냥의 항아리 丹下左膳 余話 百万両の壺> (1935), <고우치야마 소쐌 河内山宗俊>(1936), 그리고<인정 종이풍선 人精紙風船>(1937), 단 세 편만이 현존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야마나카의 현존 세 작품을 통해 감독의 영화적 사유를 논의하고 그에 대한 작가적 담론 확대에 기여하는 데 의의를 둔다.
    연구내용은 야마나카 사다오의 서사 양식과 이것이 재현되는 공간의구성양식을 면밀하게 고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본고는서사를 통해 소시민의 삶과 현실이 드러나는 과정을 살펴본 뒤, 서사적 특징으로 주요 사건의 생략과 비약이 이루어지는 지점들을 논의한다. 여기서 주요 사건의 생략과 비약은 서사의 빠른 전개와 더불어 편집의 리듬을형성하고 장면의 정서를 구축하는 양태를 보인다.
    야마나카 영화의 주제라 할 수 있는 동시대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선과 목소리는 시대극의 외형을 경유하여 제시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현실을 외면하고 과거로 회귀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시대극의 외형을통해 동시대의 문제를 보다 자유롭게 묘사하고자 했던 작가적 의도에서기인한 것이다. 인물과 공간의 관계를 그리는 과정에서 카메라는 거리를두고 움직임을 자제하며 대상과 현상을 관조하는데, 이것은 삶과 현실의공간에 대한 작가의 세밀한 시각적 구성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는 오랜 시간 거리를 두고 대상을 촬영하는 리얼리즘 영화기법과 음영에 기반을 두는 조명의 활용이 포함된다.
    야마나카의 영화 공간 미학을 고찰하는 일은 결국 프레임 공간구성에대한 매체 미학적 논의인 동시에 현실 공간 속 인간의 삶에 대한 작가적 사유를 들여다보는 작업을 수반한다. 감독의 공간 구성양식으로부터 비롯되는 리얼리즘은 현실에 대한 단순한 모사가 아니라 현실에 대한 창조적재구성으로 논의될 수 있다. 이것은 곧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영화는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야마나카만의 응답이자 그만의 영화적 실천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cinematic space aesthetics of a film director Sadao Yamanaka (1909~1938), who did not have enough auteur research and a film aesthetic discourse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1930s, the first golden age in Japanese film history. He directed a total of 26 films in the six years from his debut in 1932 to his last film in 1937. However, unfortunately, most of the works were lost, and only three exist, including <Tange Sazen: The Million Ryo Pot> (1935), <Kochiyama Soshun> (1936), and <Humanity and Paper Balloons> (1937).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irector's cinematic cogitation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artist's discourse through Yamanaka's three existing works.
    The study consisted of a meticulous examination of Sadao Yamanaka's narrative style and the composition style of the space in which it was represented.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life and reality of petit bourgeois through the narrative, the points where major events were omitted and leaps were discussed as a narrative feature. The Ellipsis and leap of important events are characteriz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forming the rhythm of editing and building the emotion of the scene. From this, the director tried to find answers to contemporary reality problems in the past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arrative. This is not due to the artist's intention to turn away from reality and return to the past, but to portray contemporary problems more freely through the appearance of a period drama. In the process of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a space, the camera contemplates objects and phenomena, restraining movements at a distance. This is connected with the director’s detailed visual composition of the space of life. This composition includes the use of realistic film techniques such as long shot, long take and deep focus and the use of lighting based on shading.
    Examining Yamanaka's cinematic space aesthetics eventually involves both a media aesthetic discussion of frame space composition and a work of looking into the artist's thoughts on human life in real space. Realism arising from the director's spatial aesthetics can be discussed as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reality, not just a copy of reality, which is Yamanaka's response to what cinema should be and his own cinematic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씨네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