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A Study on Intertextuality of “GeukungHaeng” by Lee GwangSo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이광수의 장시 「극웅행」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9호 / 159 ~ 188페이지
    · 저자명 : 송영순

    초록

    1917년 『학지광』에 발표된 이광수의 「극웅행」은 서사성과 운문성을 갖춘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서사시로서의 조건을 갖추었느냐에 대한 논의는 배재하고 당대의 문학사적 측면에서 새롭게 창조된 서사시적 가치를 인정하여 탈장르적인 시각에서 기법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극웅행」은 다성적 서술양식을 갖춘 특징이 있다. 먼저 이 작품은 전통적인 구비문학의 다양한 장르를 패러디한 상호텍스트성이 있으며 여러 장르의 특징을 내적으로 서로 연관된 구성을 하고 있다. 전통구비문학의 서사형식인 서사무가, 단군신화, 환몽서사, 판소리 사설 등의 장르를 복합적으로 패러디 한 혼성모방의 상호텍스트성이다. 이 작품은 단군신화와 환몽서사를 혼성하여 기본 서사로 삼고 있으며, 작품의 배경은 서사무가의 ‘창세가’를 수용하고 있고, 주인공은 단군신화의 ‘곰’을 ‘극웅’으로 패러디 하고 있으며, 환웅과 웅녀의 결합을 패러디하여 극웅과 선녀의 결합 모티브를 꿈으로 형상화 하였고, 이 꿈을 환몽서사로 차용하여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애정서사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 시의 전편에 흐르는 리듬은 판소리 사설의 운율을 적극 수용하여 서사시의 구연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작품의 통일성을 얻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극웅행」은 서정적 요소와 서사적 요소를 동시에 지닌 서사시를 창작하려는 실험성이 돋보인 작품으로 탈장르적 관점에서 창조된 서사시로 볼 수 있다. 이로써 1920년대 서사시의 출현을 좀 더 앞당겨 1910년대 서사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근대 서사시로 볼 수 있는 여지를 준다.

    영어초록

    Lee GwangSoo's poem, “GeukungHaeng” published on the Hakjikwang in 1917, seems to be the first modern epic both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nd verse. In this article, I just focus on technical quality of this poem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 view acknowledging the narrative value of this poem which was recreated in literary history of those days.
    “GeukungHaeng” has polyphonic narrative style in many ways. First of all, this poem has intertextuality or mixed-mimetic intertextuality, using the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oral literature parodied and interconnects some various genres, including epic-ballads which was the traditional oral literature, the myth of DanKun,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dictions of Pansori’. The basic narrative of this poem is the myth of DanKun and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mixed, but the setting of this poem is ‘the song of creating the world’ in epic-ballads, and the hero, ‘Geukung’, is parodied from the bear in the myth of DanKun, and the marriage of the two characters, ‘Hoaungung’ and ‘the nymph’, was the parody of that of HhanWung and The Wooyu through dream, which was borrowed from the narrative of an empty dream constructing a kind of fantastic and romantic love narrative. Furthermore, the rhythm of this poem is received from that of ‘Pansori’, which raises the orality of this poem, giving lots of totality to this poem.
    In these respects, I regard this poem, “GeukungHaeng” as an epic created from the out-of-the-genres point of view with the poet's experimental sense, which aimed to write a poem both with lyric and narrative elements. Therefore, I want to regard this poem as a modern epic which received the narrative style of 1910s before the narrative style of 1920s emer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