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 시에 나타난 '영성 세계'의 순례 - '어머니'에서 '그리스도'에로 혹은 '그리움'에서 '사랑'에로 이르는 길 (A Pilgrimage of ‘Spiritual World’ in Yun Dong-ju’s Poetry-A Road from ‘Mother’ to ‘Christ’ or from ‘’ to ‘Implied Enduran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12
43P 미리보기
윤동주 시에 나타난 '영성 세계'의 순례 - '어머니'에서 '그리스도'에로 혹은 '그리움'에서 '사랑'에로 이르는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64호 / 117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애

    초록

    본고는 윤동주의 시에 나타난 무의식적 세계와 영성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윤동주의 시세계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식민지 상황에 대한 고통과 성찰과 관련하여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는 그러한 접근을 넘어 그의 시를 정신분석적인 방법론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 속에 내재해 있는 무의식적 세계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그의 시에 나타난 괴로움, 고통, 슬픔, 외로움, 그리움 등은 빼앗긴 고국의 현실에서 연유된 것이라기보다는 ‘최초의 완벽한 만족’의 대상인 ‘어머니’라는 ‘큰사물(la Chose)’의 상실에 따른 것이며 따라서 그의 시는 그 실재의 세계인 ’큰사물‘에 대한 추구였던 것이다.
    라캉에 따르면 인간은 잃어버린 최초의 사랑의 대상을 욕망하며 환상으로 향유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욕망의 원인-대상’을 ‘대상a’라고 명명한다. 그것은 주로 어머니의 ‘젖가슴’이나 ‘시선’, ‘목소리’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측면을 확증이라도 해 주듯이 윤동주의 시에는 ‘대상a’로서의 어머니, 어머니의 젖가슴, 그리움에 대한 시가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인 시로 「남쪽하늘」, 「별헤는 밤」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인의 욕망의 근원은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수록된 최초의 시에 해당하는 「자화상」의 우물이라는 거울, 즉 시인의 ‘욕망의 거울’을 통해 비추어지며 그 단초가 드러나게 된다. ‘욕망의 거울’의 기능을 하는 산속 깊은 우물 속에 비친 사나이의 ‘부끄러움’이나 ‘미움’의 근원은 자신의 욕망이 거꾸로 반영된 결과라는 통찰을 시인에게 던져준다. 결코 부끄럽거나 미움의 대상이고 싶지 않았던, 사랑 받고 싶고 사랑하고 싶은 시인의 욕망은 우물이라는 거울에 역설적으로 투영된 채, 그의 시 속에서 어머니나 그리운 대상인 ‘대상a’를 찾아 헤매는 양상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작업은 일종의 향유이지만, 언어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존재결핍’을 앓게 된, 인간 주체가 영원히 상실되어 결코 만날 수 없는 실재를 만나고자하는 포기할 수 없는 갈망과 열망이기에 그것은 고통스러운 쾌락인 향락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일찍이 라캉은 이러한 ‘고통스러운 쾌락’인 향락을 그의 독특한 개념인 ‘주이상스’로 표현한 바 있다. ‘상실된 큰사물’인 ‘실재’에 대한 해소되지 않는 그리움을 떠안은, 그리하여 존재결핍을 앓고 있는 시인에게 있어 ‘시쓰기’는 향락에 다름 아닌 것이다.
    그러나 환상적으로 ‘대상a’를 통해 ‘최초의 완벽한 사랑의 만족’을 기억하여 무의식 속에 각인되어 있는 그 경험을 반복적으로 깨어내고자 하는 시인은 현실에서의 인간 존재의 ‘존재결여’로 인한 한계를 인식하고 보다 깊은 그리스도적인 영성 세계로 그 구원의 시선을 돌린다. 이러한 윤동주 시인의 영성에 이르는 여정은 그의 시 「병원」, 「팔복」, 「십자가」, 「서시」 등을 통해 엿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unconscious world and spirituality in Yun Dong-ju’s poetry. Existing Yun Dong-ju’s poetry world has been discussed mainly his pain and introspection about the colonial situat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owever, in this study, it seeks to explore his unconscious world implied in his poetry as analyzing his poetry with psychoanalytical methodology. As a result, the suffering, pain, sorrow, loneliness, and yearning in his poetry are not drawn from the reality of lost sovereignty, but rather it was from the loss of ‘a big thing (la Chose)’ called ‘Mother’ who was an object of ‘the first perfect satisfaction’. Therefore, his poetry is that is to seek ‘a big thing’, a real world. According to Lacan, men desire the first object of love that lost and try to enjoy with a fantasy, And it names the ‘cause of desire - object’ ‘object a’. It usually appeared as mother’s ‘breast’, ‘eyes’, or ‘voice’, and, like as proving this aspect, the poetry about mother, mother’s breast, and longing, often comes into Yun Dong-ju’s poetry as ‘object a’. The representative poems are 「the Southern Sky」,「Counting the stars at night」. And the source of poet’s desire was reflected in the mirror called well of 「self-portrait」, which is his first poem in his book of poetry 『The Heavens and the Wind and the Stars and Poetry』, in the other words poet’s ‘mirror of desire’, and revealed its clue. The source of the man’s ‘shame’ or ‘hate’ reflected in the deep well in a forest, which playing as a ‘mirror of desire’, threw the poet an insight that was the result reflected his desire reversely. While the poet’s desire that he want to love and be loved, and never wanted to be shamed or hated was reflected paradoxically in the mirror of the well, he wandered to find nostalgic ‘object a’ or mother in his poetry. This working is a kind of enjoyment, but it is suffering ‘Lack of existence’ due to introduction of language, and it says that is a pleasance of painful pleasure because it is desire and yearning that can’t be given up to meet the existence, which is human subject losing eternally and never meet. Lacan had early described it ‘painful enjoyment’ as his unique concept of ‘Jouissance’. Writing poetry is nothing less than enjoyment to the poet who took the unrelieved longing for ‘existence’ of ‘lost big thing’ and suffered from lack of existence. However, the poet, who wants to wake repeatably the experience carved in his unconscious, remembering ‘the first perfect satisfaction of love’ through ‘object a’ imaginatively, appreciates the limitation due to human being’s ‘lack of existence’ in reality and turns his eyes of salvation into the deeper Christlike spiritual world. This Yun Dong-ju’s journey to spirituality can be seen in his poems 「Hospital」,「Beatitudes」, 「the Cross」, and 「Pro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