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깊은 충격(Deep Impact):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드리운 그림자교육/사교육의 어두운 그림자들 (Deep Impact: Dark Shadows of Shadow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Instruc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03
30P 미리보기
깊은 충격(Deep Impact):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드리운 그림자교육/사교육의 어두운 그림자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질적탐구 / 7권 / 1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조재성, 김영천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그림자교육이 공교육의 영토를 조금씩, 하지만 깊숙이 침범하고 있는 문화 현상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적 현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용어로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촉진한 ‘빈사(moribund)’ 개념을 선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습 문화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분명 우수한 학습자이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정도로 높은 성취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 그들은 학교와 교실이 아니라 그림자교육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에 초, 중, 고등학교 6개 학교에서 40명의 연구 참여자를 목적 표집하였고, 우리나라 학생들이 얼마나 학교 바깥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그것이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사의 수업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에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서를 대체하는 문제집과 학습 자료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실 수업이 점점 학생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많은 학급당 인원수, 선행학습의 여부, 학교 교사의 지위 저하 등의 요인에 따라 학교에서의 수업은 경쟁력을 잃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교육적 책임감이 낮아지고 있었다. 교사는 학생들을 끝까지 가르치기보다는 그림자교육에 학습의 책임을 넘기고 다른 역할을 찾기 시작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에서 그림자교육이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학습 문화에 관한 사례를 통해 동북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그림자교육에 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hadow education encroaching on the territory of public education gradually but going deeper and deeper in South Korea. For its discussion, the study chose the concept of “moribund,” which facilitated the reconceptualization of curriculums, as a term reflecting the educational phenomenon best and analyzed the study culture of students in the nation based on it. There is no doubt that South Korean students are superior learners and make so remarkable achievements that they draw global attention. The reality is, however, that they spend more time on shadow education than at schools or classrooms. Thir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t six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how much South Korean students studied outside the school and what kind of effect it had on the school curriculums and teachers’ lessons.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extbooks was gradually dropping in the study of students, who achieved a satisfying level in their study by making full use of workbooks and learning materials replacing textbooks; secondly, fewer and fewer students selected classroom lessons. Lessons provided at school were losing their competitive edge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prior learning, and lower status of school teachers; and lastly, teachers’ sense of educational responsibility is diminishing. They began to explore other roles, rather than teaching students to the end, passing the buck of student education to shadow education.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a new area of research called shadow education in the studies on thecurriculums in the nation. The cases of South Korea’s learning cultu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and education culture of Korea, drawing a growing academic attention in Northeast Asia and across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질적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