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Sensuous use of Poetic Words and Free Movement of Eyes - Focusing on Jeong Ji-yong's Poem 'Pokpo'(Waterfal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05
27P 미리보기
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권 / 223 ~ 249페이지
    · 저자명 : 김영건

    초록

    정지용은 시 「瀑布」에서 감각적인 시어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瀑布」에 의성의태어가 빈번히 사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지용이 시 「瀑布」에서 사용하는 의성의태어는 일상적인 감각어의 사용과는 사뭇 다르다. 그는 일상적인 감각어를 한번 사용하고 이어서 자신이 스스로 조탁한 시어를 배치한다. 「瀑布」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지용의 이러한 시어의 사용과 배치는 그가 의성의태어를 자유롭게 활용했음을 뜻하는 동시에 정지용의 시작 태도가 조선어 감각의 고유성에서 기인했음을 의미한다. 정지용이 시작에서 구사하는 시어는 일상적인 시어 활용의 차원을 뛰어넘는데, 이는 정지용 스스로가 시어를 조탁했기에 가능했다.
    정지용의 시 「瀑布」는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은 「瀑布」에 등장하는 객관적 상관물과 언표행위 주체와 관계가 깊다. 「瀑布」는 세 가지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세 부분에서 각기 다른 시선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부분은 1연에서 6연까지로 구분할 수 있고, 여기에는 행위주체의 행동 양태와 내면 심리가 드러난다. 둘째 부분은 7연에서 12연까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부분에서는 대상과 풍경의 묘사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셋째 부분은 13연이다. 이 부분은 행위주체를 원래의 위치인 언표로 되돌림으로써 전체 풍경 속에 녹아들게 한 부분이다.
    정지용의 시 「瀑布」는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에 따라서 여러 해석이 가능한 작품이다. 시선의 이동이 자유롭다는 것은 시 해석이 평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일 수 있다는 증거이다. 하나의 개별 대상에서 전체의 풍경으로 이동하는 시선은 근경에서 원경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시선과 같은 효과를 창출한다. 시선의 이러한 운동성은 정지용 시 「瀑布」가 다양하게 확대 해석될 수 있는 유동성을 획득하게 만든다.
    정지용 시에서 「瀑布」는 주목받는 작품이 아니다. 이 글은 「瀑布」에 대한 위상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재고해야 한다는 기대를 갖게 만든다. 정주하지 않고 시작 활동을 했던 정지용의 시작 전반에서 시 「瀑布」는 초기 이미지 위주의 작품과 후기 산수시로 이행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eong Ji-yong used poetic words very sensuously in his poem 'Pokpo'(Waterfall). Frequent use of onomatopoeic words and mimetic words proves this. Those words used in poem 'Pokpo'(Waterfall) are different from sensuous words used everyday. Jeong used a sensuous word once and then arranged poetic word he elaborated carefully in person. This use and arrangement of words in 'Pokpo'(Waterfall) means that he made use of onomatopoeic words and mimetic words freely and that his writing was based on the originality of Joseon-eo's(Korean language) sense. His poetic words surpassed common use of words in poetry. It was possible because Jeong Ji-yong elaborated poetic words by himself.
    'Pokpo'(Waterfall) can be interpreted as free movement of eyes. Free movement of eyes are deeply related to objective correlative and the subject of speech act. 'Pokpo'(Waterfall) is divided into 3 parts and different aspects of eyes are revealed in each of them. The first part is from stanza 1 to 6 and in here, patterns of action and mental state of the subject. The second part is fro stanza 7 to 12 and the object and scenes are described. The third part is stanza 13. This last part makes the subject of action be melted in the whole scenes by sending it back to the original location, that is, its locution.
    Jeong,Ji-yong's 'Pokpo'(Waterfall)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ree movement of eyes. Free movement of eyes mean that the interpretation can b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eyes from one individual object to the whole scenery gives the same effects as free movement of eyes from close-range view to distant view. The motility of eyes makes his poem 'Pokpo'(Waterfall) gain the fluidity of being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This paper aims to give important meaning to 'Pokpo'(Waterfall) which has not been given any attention. In Jeong, Ji-yong's poetic career, 'Pokpo'(Waterfall) takes an important position that shows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poems of 'image' to later landscape po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