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의 「시제일호」의 새로운 해석: 공포의 확장인가 무화(無化)인가? (New Interpretation of Yi Sang’s “Poem Number One”: Expansion or Nullification of Fear?)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6.05
46P 미리보기
이상의 「시제일호」의 새로운 해석: 공포의 확장인가 무화(無化)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6호 / 91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봉근

    초록

    이 논문은 이상의 「시제일호」가 지금까지 불안과 공포의 측면에서만 해석된 것이 편중된 해석일 수 있다고 보고, 텍스트 내부와 외부에서 차례로 「시제일호」가 새롭게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먼저 텍스트 내부에서는 수미상관적 반복구조를 히브리 문학의 교차대구법으로 도해하고, 그 구심점에 있는 16행에 주목하였다. 즉 전반부의 13인의 아해(兒孩)가 도로로 질주하는 장면이 시의 마지막에 돌연히 해체되는 전환점을 만들어내는 것은 13인의 아해가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16행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 해석에서 아해들 서로에 대한 적대적 공포로 해석되었는데, 서로가 아닌 그들의 외부의 세력에 대한 공포와 무서움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제까지 「시제일호」에 대한 해석이 16행의 전환점 이전에 전반부의 공포적 상황 연출에만 집중하였는데, 이 모든 상황이 돌연히 소거되고 무화되는 결말의 상황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내용 분석은 다시 시의 스토리 서술에 있어서 서술자와 초점화자의 언술적 특징에 대한 분석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는데, 이 시가 제시하는 공포적 상황의 돌연한 소거는 결국 스토리 외부의 제어자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 제어자를 리몬 케넌의 연구에 근거하여 ‘외적 초점화자’로 지칭하고, 텍스트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포커스가 ‘보는 주체’로서 이러한 외적 초점화자에 의거한 상황의 연출과 중지에 있다고 보았다. 즉, 이 시는 공포적 상황 자체를 심화시키며 끝나기보다는 그러한 상황 자체를 해소시키며 끝나는 것에도 무게 중심을 두고 있기에 공포의 추체험과 무화 사이에서 균형진 해석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일으킨 주체로서 무서운 아이들은 무서움에 떨고 있는 다른 아이들을 향해서가 아니라, 그들에게 무서움을 전해준 무서움의 주체, 혹은 무서움이라는 대상에 대해 맞서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텍스트 외부에서 볼 때도 「시제일호」에 대한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데, 먼저 <오감도> 연작의 제목이 <조감도>에서 왔다는 점에 근거하여 <조감도> 연작을 분석하여 보면 「LE URINE」에서 출현하는 까마귀는 매우 당당하고 신비로운 숭고성의 표상임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오감도> 연작의 제목이 단순히 불길한 암시를 뜻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시제일호」에 묘사된 핵심적인 시적 정황으로서의 ‘아해들의 질주’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공포의 불안한 현장으로서의 의미를 넘어서서 근대의 폭력성으로부터 탈주하는 의미와 맞닿아 있다는 해석이 초기 일문시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차8씨의 출발」에 대한 새로운 해석적 관점과 기존의 ‘13’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과 연결되며, 정치적이면서 동시에 니체의 초인적 질주와 같은 계보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시제일호」는 만인의 공포감에 대한 재현적 형상화에만 초점을 맞춘 시가 아니라 그러한 공포의 추체험을 통과하면서도 그 모든 공포를 무화시킬 잠재적 역량의 담지자로서의 ‘무서운 아해들’의 출연에 있음을 매우 아이러니한 방법으로 표출한 시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Judging that the interpretations of Yi Sang’s “Poem Number One,” only from the aspects of anxiety and fear till now, might be biased on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em Number One” could be newly interpreted from the inside of the text and then the outside of it. First, from the inside of the text, this study diagrammatized its consistently repetitive structure as a chiastic structure in Hebrew literature and focused on Line 16, which is in the pivot. In other words, the scene in which 13 children are running rapidly to the road in the first half creates a turning point dissolved suddenly at the end of the poem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13 children may turn into ‘frightening children’ and ‘frightened children’ in Line 16. This has been interpreted as the children’s hostile fear of each other till now, and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horror and fear for forces outside of them. In addition, the interpretations of “Poem Number One” till now have focu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scary situation in the first half before the turning point of Line 16 while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to focus on the situation of the ending where all this situation is suddenly erased and nullified. It is judged that this structural analysis should be connected to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 discourse on the narrator and focalizer in the story narration of poetry, and this is because the sudden erasure of the situation of horror presented by this poem shows the existence of a controller consequently. This study refers to this controller as ‘an external focalizer’ based on Shlomith Rimmon-Kenan’s studies and notes that the most important focus of the inside of the text as ‘viewing subjects’ is in the presentation and suspension of the situation based on this external focalizer. In other words, since this poem concentrates on ending by resolving the situation itself, in addition to ending with deepening the scary situation itself, a balanced interpretation is necessary between the re-experience of fear and the nullification of it. This study raised a possibility that, in the poem, the frightening children as subjects that caused such a change, could be interpreted as those who are standing against the subject of fear, which delivered that to them or the object of fear, not the other children trembled with fear.
    Also, from the outside of the text, this interpretation of “Poem Number One” is possible: First, if the series of “Jogamdo” is analyz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title of the series of “Ogamdo (Brow’s-eye view)” came from “Jogamdo (Bird’s-eye view),” it is found that the title of a series of “Ogamdo” never refer to a sinister implication in that it is noted that the crow appearing in “LE URINE” is a very dignified and mystical symbol of sublimity. Above all, it can be noted that an interpretation that ‘the children’s rapid running’ as a key poetic situation described in “Poem Number One” is in line with the meaning of an escape from the violence of modernity rather than having a meaning as a confusing scene of the fear of all for all is connected to a new interpretive perspective for “Mr. Cha8’s Departure” by “Au Magasin de Nouveautes” that ended his early Japanese poems and new interpretations of the number ‘13’ which existed before, which can be considered political and in the same genealogy as that of the rapid running of Superman (Übermensch) in Nietzsche. Therefore, it is noted that “Poem Number One” is not a poem that only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al imagery of everybody’s sensation of fear, but one that ironically expressed the appearance of ‘frightening children’ who would nullify all that horror while passing through re-experiencing such f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