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합 독서의 새로운 지평 - 수학자 폴리아의 문제해결 전략을 활용한 독서법 - (A New Prospect of Convergence Reading — A Reading Method by Mathematician G. Polya’s Problem Solving Strateg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6.06
22P 미리보기
융합 독서의 새로운 지평 - 수학자 폴리아의 문제해결 전략을 활용한 독서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65호 / 81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화선, 오연희

    초록

    본고는 수학을 하나의 문제해결 과정으로 해석한 수학자 폴리아(Polya)의 이론을 독서법에 적용하여 새로운 융합 독서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수학 역시 인문학적 사유가 진행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대화와 타협을 통해 의미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역설한 폴리아의 문제해결 전략을 독서법에 적용하여 수리적 사고와 인문학적 사유의 통섭을 통한 새로운 독서 전략을 창안하였다. 수학자 조지 폴리아는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을 <문제의 이해 → 계획 수립 → 계획 실행 → 문제해결-반성, 검토>의 단계로 설명한 바 있는데, 학습자가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지 고민하면서 전략을 수립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독자가 책을 읽으며 의미를 찾아가는 일련의 과정과 유사하다. 독서 역시 독자와 저자가 대화하며 서로의 문제를 해결해가는 협력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폴리아의 문제해결 전략을 토대로 본고가 창안한 융합 독서의 4단계는 <1단계 발견(독서 동기의 발견) → 2단계 계획(독서 전략 수립) → 3단계 실행(독서 전략 실행) → 4단계 반성(독서 과정에 대한 성찰과 반성)>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왜 읽어야 하는지 독서의 동기를 발견하는 단계이며, 2단계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독서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이때 폴리아가 제시한 ‘그림 그리기’와 ‘규칙 찾기’와 같은 전략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3단계는 독서 전략을 실행하면서 독서의 목표를 확인하고 읽어나가는 단계이며, 4단계는 자신의 독서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단계로, 성찰한 내용에 따라 이전 단계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적용하여 본고가 제안한 융합 독서의 전략은 독자 개인의 자의적 해석으로부터 벗어나 소통과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합리적인 과학적 독서 패러다임이며 수학과 인문학의 통섭으로 구성한 독서 전략인 동시에 문학과 다른 분과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한 읽기 전략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pplies a theory of mathematician George Polya who interpreted mathematics as a problem-solving process and suggests a paradigm for new convergence reading. Polya claimed that mathematics is the same as humanities in that it is a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compromise. This study applies Polya’s problem-solving strategy and invents a new reading strategy by converg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humanistic thinking. Mathematician Polya explained his problem-solving strategy by the step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 devising a plan → carrying out the plan → looking back>. The process of learners concerning how to solve a problem, establishing a strategy, and solving the problem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readers reading books. This is because reading is an activity in which readers and the author have a conversa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together.
    Thus, on the basis of Polya’s problem-solving strategy, this research suggests four steps of convergence reading. Step 1: Discovery (discover reading motive) → Step 2: Plan (establish reading strategy) → Step 3: Reading (implement reading strategy) → Step 4: Reflection (reflect on reading process)>. In Step 1, readers find their reading motives namely why they have to read books. In Step 2, readers establish their reading strategies, namely how they should read books. At this point, they can fully use Polya’s strategies such as drawing and finding patterns. In Step 3, by implementing reading strategies, readers find their purposes of reading and keep reading books. In Step 4, readers reflect on their reading processes and evaluate themselves. Readers can go back to Step1, Step2, or Step3 according to their status.
    This study describes how to read Miguel de Cervantes’ Don Quixote with convergence reading strategy. Convergence reading strategy suggested by this study is a rational and scientific reading paradigm that readers don’t participate in their arbitrary interpretation. Moreover, this reading paradigm is a way that makes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possible. Convergence reading strategy is a reading strategy made by mathematics and humanities; at the same time,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reading strategy that converges literature and other branches of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