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 전집의 문학사와 탈장르적 상상력 - 새로운 <이상 전집>을 위하여 (A Study on Literary History Complete Works of Ri Sang and the Post-genre Imagination - Toward a New Complete Works of the Ri Sa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3
32P 미리보기
이상 전집의 문학사와 탈장르적 상상력 - 새로운 &lt;이상 전집&gt;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5호 / 249 ~ 280페이지
    · 저자명 : 노태훈

    초록

    문학 연구에 있어 ‘전집’은 작가·작품 분석의 기초가 되는 자료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한 언어문화권의 문학적 유산으로도 여겨진다. 특히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전집은 196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생산, 유통되면서 학술적 논의의 바탕이 되어왔다. 그중 본고에서는 전후 한국문학사의 새로운 기원으로서 작가 이상(李箱)을 가시화시키며 작품 발굴과 연구의 중심이 되었던 ‘이상 전집’의 흐름과 특징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에 대한 최초의 선집을 펴낸 김기림으로부터 임종국, 이어령, 김윤식·이승훈, 김주현, 권영민 등의 전집 계보는 그 자체로 이상 문학에 대한 연구를 확산시키고 해석의 장을 연 성과이기도 했다.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텍스트의 발굴과 이를 둘러싼 여러 논점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나면서 텍스트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끊임없이 갱신되어왔고 그리하여 텍스트 본래의 의미로부터는 다소 동떨어져 있거나 과장된 맥락에서 읽히기도 했다. 본고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각 이상 전집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현재적 관점에서 다시 이상의 텍스트를 준별해 보고자 한다. 이상의 텍스트를 정확하게 읽어내면서 동시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은 그간의 이상 연구가 지향해 왔던 일관된 방향이었으나, 이상이 기존의 문학 개념과 조금은 다른 방식의 글쓰기를 시도했던 작가임을 고려할 때 전통적인 문학관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원전을 찾아 정확히 옮기는 문제가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싼 맥락들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특히 이상 문학의 장르적 특징에 주목해 이상의 텍스트를 기존의 ‘문학’ 개념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읽어내는 일이 요구된다는 의미이다.
    본고는 시와 소설, 그림과 건축 등을 넘나들던 이상의 ‘혼종성’이 텍스트의 차원에서 어떻게 전위적으로 재현되었는지, 또 그것이 기존의 문학적 구획을 벗어나 텍스트가 가진 물리적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 보려 했는지 논증하면서 열린 텍스트로서의 이상 문학의 의의를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literary studies, ‘complete works’ serve not only as the basis for analyzing authors and works, but also as the literary heritage of a language and culture. In particular,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complete works have been produced and circulat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and have been the basis for scholarly discussion.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 Complete Works of Ri Sang’ that have become the center of discovery and research, making Ri Sang as a new origin of postwar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Kim Ki-rim, who published the first anthology on Ri Sang, to Lim Jong-guk, Lee Eo-ryung, Kim Yun-sik, Lee Seung-hoon, Kwon Young-min, Kim Joo-hyun, and others, the genealogy of complete works was itself an achievement that spread the study of Ri Sang’s literature and opened up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discovery of new texts and the continuous emergence of various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m have led to a constant renewal of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texts, and as a result, they have been read in a context that is somewhat distant from their original meaning or exaggerated.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book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Ideal Collections and attempts to reclassify Ri Sang’s texts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While accurately reading Ri Sang’s texts and pursuing the possibility of new interpretations has been a consistent direction of Ri Sang’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part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literature, considering that Ri Sang was a writer who tried to write in a way that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literature. This means that it is not simply a matter of finding and accurately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s, but of reading Ri Sang’s texts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contexts surrounding the text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genre features of Ibsen’s literature, as a possibility to go beyond the existing concept of ‘literature’.
    This paper will re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Ri Sang’s literature as an open text by discussing how the ‘hybridity’ of Ri Sang, which crossed poetry and fiction, painting and architecture, was avant-garde at the level of the text, and how it attempted to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text by escaping the conventional literary categ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