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태로운 시대의 취약성 연구―취약성 개념의 초학제적 탐색 (VulnerabilityStudiesinPrecariousTimes: Transdisciplinary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4
27P 미리보기
위태로운 시대의 취약성 연구―취약성 개념의 초학제적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0권 / 1호 / 15 ~ 41페이지
    · 저자명 : 노대원, 이소영, 황임경

    초록

    ‘취약성’(脆弱性, vulnerability) 개념은 상처, 손상, 해악, 불안정성, 약점, 연약함 및 유한성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인간의 본래적 취약성에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양극화, 기후 위기, 신종 감염병과 같은 사회적⋅환경적 취약성까지 더해져 오늘날 개인의 삶은 더욱 위태롭다. 취약성 논의는 이 같은 다양한 삶의 조건 변화에 따라 ‘취약성 연구’(vulnerability studies)라는 새로운 학제적 영역으로 발전했다.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철학은 취약성 개념이 널리 알려지게 된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다. ‘상처 입을 가능성’(vulnérabilité) 개념은 타자성의 윤리학(ethics of alterity)으로 일컬어지는 레비나스 철학에서 출발해 ‘윤리적 전환’(the ethical turn)의 핵심이 되었다.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레비나스의 개념을 정치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취약성 연구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도록 했다. 버틀러는 취약성을 수동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대신 저항의 실천들을 포함하는 구체화된 사회관계들로 고려하기를 제안했다.
    생명의료윤리 논의에서 취약성은 지금까지 주로 자율성의 감소로 이해되었으나 점차 확장됨 관점을 요구하게 되었다. 페미니즘과 돌봄 논의는 이런 경향을 대표한다. 마사 파인만(Martha A. Fineman)은 자율적 인간관을 거부하고 인간은 근원적으로 취약하고 관계적이며 의존적인 존재라고 주장한다. 또한 에바 커테이(Eva. F.Kittay)는 인간의 취약성이 상호 돌봄의 관계를 요구한다고 했다.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역량 접근법(capability approach) 역시 취약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취약성 개념의 이론적 모호함을 극복하기 위해 카트리오나 매켄지(Catriona Mackenzie), 헹크 텐 하브(Henk Ten Have), 바바라 미스탈(Barbara A. Misztal) 등은 심화된 탐구와 범주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취약성 연구는 여전히 취약한 자들의 목소리와 서사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요구한다.

    영어초록

    Today,thelivesofindividualsarefacingincreasinglyprecariousconditions.Theintrinsic vulnerabilityofhumanbeingsisaddedtosocialandenvironmentalvulnerabilitiescaused byvariousfactorssuchasglobalcapitalism,polarization,climatecrisis,andnewinfectious diseases.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is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ound, damage, harm, instability, weakness and finiteness. The discussion of vulnerability has developed intoanewinterdisciplinaryfieldcalled‘vulnerabilitystudies’inresponsetochangesinto-day’s various living conditions.
    EmmanuelLevinas’philosophyisoneofthemainfactorsthatmadetheconceptofvul-nerability popular. The concept of ‘vulnérabilité’ started from his philosophy, which is called the ethics of alterity, and became the core of the ‘ethical turn’. Judith Butler re-interpretedLevinas’conceptasatermofpoliticalphilosophyanddrewmanypeople’satten-tion to the study of vulnerability. Instead of understanding vulnerability as passive con-dition, Butler proposed to consider it as a medium of solidarity involving practices of resistance.
    In the biomedical ethics discussion, vulnerability was mainly understood as a decrease in autonomy, but it required an expanded perspective. The discussion of feminism and care represents this trend. M. A. Fineman rejects the autonomous human view and argues that humans are fundamentally vulnerable, relational, and dependent beings. In addition, care theorist E. F. Kittay argued that human vulnerability requires a relationship of mutual caring. Martha Nussbaum’s capability approach is also based on vulnerabi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theoretical ambiguity of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Catriona Mackenzie, Henk Ten Have, and Barbara A. Misztal attempted in-depth exploration and categorization. However, vulnerability studies still require more attention to the voices and narratives of the vulner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