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중산층 시민사회와 이주민: 새로운 시민성과 정체성 정치 (German Civil Society and Migrants: New Citizenship and Identity Politic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02
27P 미리보기
독일 중산층 시민사회와 이주민: 새로운 시민성과 정체성 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90권 / 29 ~ 55페이지
    · 저자명 : 이용일

    초록

    이 글은 독일연방공화국의 새로운 시민성과 정체성 정치를 다룬다. 오랫동안 민주주의가 부재했던 독일사회는 국가차원의 시민성 개념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공적 자율성을 지닌 국가공동체의 일원을 의미하는 영미권의 citizen과 프랑스의 citoyen에 비해 독일의 Bürger는 계급적 성격이 강했다. 전후 서독의 새로운 시민성 정치는 이러한 계급성을 극복하는 서구적 시민성 모델의 도입을 추진했다. 그럼에도 특정한 계층을 암시했던 시민은 국민이나 민족을 대체하는 개념이 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포용적 복지사회에서 대다수의 독일 국민이 중산층 이상의 계층으로 올라섰고, 독일의 법치국가를 뒷받침하며 그 제도를 만들어가는 ‘실질적인 시민’이 되었던 것이다. 독일 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중산층 사회의 도래에 독일 이주민들의 역할은 중요했다. 그들은 독일인들이 떠난 밑바닥의 공백을 메우며 독일의 경제적 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발전에도 이바지했다. 그럼에도 그들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부와 복지를 좀먹는 기생충으로 간주되곤 한다. 적지 않은 이들이 사회적, 경제적 상승을 통해 ‘실질적인 시민’의 위치에 올라섰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배경을 가진 자라는 집단적 범주 속에서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독일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이주배경을 가진 자의 포용과 통합은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과제가 된지 오래다. 이주민을 포용하는 새로운 시민성 논의가 계층적인 것과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전후 독일의 새로운 시민성 정치가 이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new citizenship and identity politics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German society, which has long lacked democracy, has not developed the concept of state citizenship. Bürger in German was not even citizen in english and citoyen in french. The citizenship politics of West Germany introduced the Western citizenship model. This attempt was unsuccessful. But in an inclusive welfare society, the majority of German Bürger have risen to the middle class or higher, the “real citizens” who are crucial for democratic society. The role of immigrants in Germany was important in the advent of a middle class society that underlay the German democracy. They filled the void left by the Germans and contributed to the economic and democratic development in Germany. Nevertheless, they are not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stead they are considered parasites that devour the nation’s wealth and welfare. Although many migrants in Germany became ‘real citizens’ through social and economic rise, they are experiencing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collective category,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The inclusion and integration of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one fourth of the German population, has long been an important social and political challenge. The discussion on the citizenship of migrant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hierarchical approach. The new citizenship politics of post-war Germany shows this clea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