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러시아 공익광고의 양상과 ‘새로운 러시아’ 이미지 구축 전략 (Russia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the 1990s and Strategies for Building a ‘New Russia’ Ima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1990년대 러시아 공익광고의 양상과 ‘새로운 러시아’ 이미지 구축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학보 / 36권 / 4호 / 193 ~ 220페이지
    · 저자명 : 송정수

    초록

    포스트소비에트 초기 러시아 정부는 자신들의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모색과 고민을 풀어나가기 위해 공익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나갔다. 특별히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공익광고는 중앙정부로부터 일방적으로 발신되는 전언이 강조되었던 소비에트 시대의 공익광고와 차별화 된다.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제작된 공익광고는 몇몇 케이스에서 교화적, 계몽적인 요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해당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규범과 가치를 기반으로 양방향적 문화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사회와 사회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제작된 공익광고는 일방향적 전언처럼 확산되었던 소비에트 프로파간다와 차별화된다. 한편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민간 차원에서 제작된 몇몇 광고들은 당시 러시아 국민들의 노스탤지어적 감성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현재와 과거의 연결고리를 형성해낸다. 이를 통해 해당 광고들은 과거 소비에트 시대와 새로운 러시아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과 갈등이 해결될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더 나아가 과거 소비에트 시대에 방점이 찍혔던 국가의 시간과 공적인 영역에서의 삶이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에 들어와서 어떤 방식을 통해 개인의 시간과 사적인 영역으로 전화되며 조화를 이루어나가는지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이에 본 글에서는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현대적 의미에서의 러시아 공익광고의 유형을 일별하고, 광고 속 메세지와 이미지를 통해 1990년대 러시아 사회문화 이슈를 살펴본다. 더 나아가 이 시기에 제작된 공익광고가 소련 붕괴 이후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해나가는 방식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에트 시대에 제작된 ‘프로파간다형’ 공익광고와 동시대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제작된 공익광고 간의 차이점을 짚어본다. 이후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제작된 공익광고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관련 법안의 성립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더 나아가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제작된 대표적인 공익광고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광고에 투영된 다양한 이미지와 텍스트가 어떤 방식을 통해 문화적 전언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러시아 공익광고를 통해 발신되는 다양한 메시지가 소련방 붕괴 이후 새롭게 탄생한 ‘다른’ 러시아에 대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규명해 본다.

    영어초록

    During the post-Soviet period, the Russian government actively use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o establish their new identity and to find ways to move forward and solve their concerns. In particular,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the post-Soviet era are different from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the Soviet era in that messag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ere emphasized unilaterally. Som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the post-Soviet era contain enlightening elements. However, in most cases, the focus was on delivering a two-way cultural message based on the norms and values ​​commonly used in society. By doing so, they aimed to elicit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 the society and its members. In this respect,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during the post-Soviet period are differentiated from the Soviet propaganda, which spread like a one-way message. Meanwhile, some advertisements produced at the private level in the early days of the post-Soviet form a link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n a way that stimulates the nostalgic sensibility of the Russians at the time. Through this, the advertisemen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gap and conflict that existed between the former Soviet era and the new Russia. Furthermore, it indirectly shows how life in the public realm and national time, which was the focus of the post Soviet era, transformed into and harmonized personal time and the private realm in the post-Soviet era.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look at the types of Russia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the modern sense that began to develop in earnest in the early days of the post-Soviet era and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of Russia in the 1990s through the messages and images in the advertisements. Furthermore, we examine how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built the image of a 'new Russia'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paganda-typ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during the Soviet era and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in the US and European markets at the same time. Subsequently, we briefly review the history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the post-Soviet era, and learn abou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related laws. Furthermore, by analyzing representativ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the post-Soviet era, we examine how the various images and texts in advertisements function as cultural messages. Through this, we observe how the various messages in Russia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re used to build an image of the ‘new Russia’ soon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브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