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和順 雲住寺 石塔의 特殊性에 관한 考察 (On the Study of the Peculiarity of Stone Pagoda of the Unjusa Temple at Hwasu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4.09
24P 미리보기
和順 雲住寺 石塔의 特殊性에 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7호 / 135 ~ 158페이지
    · 저자명 : 박경식

    초록

    전라남도 화순군 용강면 대초리와 용강리 일원에 건립되어 있는 운주사는 예로부터 “千佛千塔”의 사찰로 알려져 왔다. 이는 사역내에 101구의 불상과 30여기 이상의 석탑이 현존하고 있어 붙여진 것으로, 『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도 기록되어 왔다. 이같은 현상은 국내의 어느 사찰에서도 볼 수 없기에 일제강점기 이래 현재에 이르기 까지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1984년부터 1989년에 걸쳐 진행된 4차례의 발굴조사는 운주사 연구에 기폭제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운주사의 석탑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특수성에 대해 배치와 성격, 양식, 평면구도, 장엄조식으로 구분해 고찰했다. 이 결과 운주사의 석탑은 동아시아의 여러 유적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佛塔群과 일련의 연관성은 있지만, 사리를 봉안한 불탑이라는 측면에서 완전히 다른 양상임이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양식적인 면에서도 기왕에 주장되었던 중국 불탑과의 연관성 보다는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로부터 이룩된 다양한 변화상이 이곳에서도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평면구도 역시 평면 방형의 확일성에서 벗어나 방형과 원형, 십각과 원형의 조합 등 다양한 변화상이 파악되는 바, 이 역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다양한 석조물에서 시도된 변화상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했다. 기왕의 연구에서 가장 주목되어 왔던 면면은 석탑의 표면에 가해진 장엄조식이다. 즉, 중첩된 보조우주와 X자문과 마름모 문양은 가장 특이한 현상으로 주목되어 왔다. 이에 대해 필자는 중첩된 보조우주는 주로 7층 석탑에 시문된 점에 주목해 구조적인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공간성을 부여한 조식으로 파악았다. 이와 더불어 그간 힌두교 또는 몽골의 영향으로 보았던 X자문과 마름모 문양 역시 신석기 시대 이래 토기와 기와 등에서 확인되는 점으로 볼 때 전통적인 문양사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았다.
    운주사의 석탑에서 파악되는 다양한 면면은 기왕에 건립되던 다른 석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파격성이 가장 특이한 점으로 파악된다. 필자는 이에 대해 호남지역의 불교문화에서 파악되는 다양한 특수성 즉, 새로운 양식의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팔각원당형 승탑의 완성과 발전, 일반형 석등에서 벗어난 고복형석 등의 건립 등 이 지역 장인들이 지닌 예술적인 감각과 소양이 그대로 묻어난 결과로 보았다. 결국 호남지역에서 파악되는 새로운 문화동향과 예술적 능력은 국내는 물론 다른 나라의 불교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운주사만의 천불천탑을 탄생시킨 것으로 파악했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many peculiarity found in the stone pagoda of Unjusa Temple were studied through its placement, characteristics, stylization, plane structure, and surface sculpture.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even though the pagoda of Unjusa temple has a series of associableness with other pagodas found in East Asia, has a totally different aspect for it is a pagoda preserving sarira. Also, its stylization is close to a developed form of that of the Three Kingdoms and United Shilla rather than stylization of Chinese pagodas. The plane structure is also far from uniformity of flat-structure and many variations that combine squares and rounds, crosses and rounds are found, and this too looks like a characteristics of stone structures built during the period of United Shilla. The surface sculptures of Unjusa Pagoda had been studied in pre-existing researches. Piled up side pillars, X-shaped and diamond-shaped patterns especially received much attention. I, as the researcher, have concluded that the piled up pillars were created to secure spatiality that solves structural instability since this stylization is found mostly in seven-story pagodas. For the X-shaped and diamond-shaped patterns, even though they were conceived to be Hinduism or Mongolian influence, an attempt to trace its origins from traditional patterns of Korea must be made for these patterns can also be found in earthenwares and tiles since Neolithic age.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found in Unjusa pagoda is the exceptionality that has not been seen in other pagodas built before it. This aspect must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many distinctiveness found in buddhist civilization of Honam region that had constructed Four-Lion-Supported Three-Story Stone Stupa of Hwaeomsa Temple, which shows a new stylization, or Gobokhyeong(shape resembling double-headed drum) stone lanterns diverged from standard stone lanterns. As the researcher I believe that the motivation behind this distinctiveness is derived from artistic sense and skills of artisans in the region. To conclude, the new artistic movement and skills dawned in Honam region created the unique buddhist pagoda of Unjusa Temple-Temple of the thousand statues and pagodas-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buddhist civilizations worldw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