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전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정전성의 정치학 (The New Horizon of Canon Studies: the Politics of Canonici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1.12
46P 미리보기
정전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정전성의 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5호 / 1 ~ 46페이지
    · 저자명 : 박상진

    초록

    정전은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인류 역사에서 오랫동안 우리에게 친숙한 주제다. 정전에 해당한다고 여겨지는 문화 텍스트들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창작되고 전파되었다. 그런데 서구 근대 문명의 출현과 함께 정전은 우리가 직면해야 할 하나의 문제로 떠오르게 된다. 그 이유는 서구 근대 문명은 그리스와 로마 문명을 자체의 고유한 뿌리로 채택하면서 서구의 ‘외부’에 있는 모든 문명을 폄하하는, 이른바 서구중심적이고 근대중심적인 속성을 근본으로 해왔기 때문이다. 그러한 서구근대중심적 문명관에서 제국과 식민, 문명과 야만, 중심과 주변과 같은 이분법적 분리가 고착화되고 심화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정전은 그러한 이분법적 분리를 공고히 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제시되었고, 따라서 정전 문제의 연구는 그러한 이분법적 분리의 비판과 극복을 위한 논의를 펼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딱히 정전 연구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주로 20세기 이후에 펼쳐진 문학과 문화이론들의 많은 수가 정전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사실 혹은 그렇게 볼 수 있다는 점은 정전의 문제가 그만큼 뿌리가 깊고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 논문에서는 정전에 대해 주로 서양에서 연구해온 흐름들을 정리하고 그 공과를 평가하며, 그 평가 위에서 정전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안하려는 목표를 추구한다. 첫 번째 목표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논술을 필요로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여러 항목들을 제시하고 간단한 논평을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이는 정전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가늠하기 위해 서양의 정전 연구의 전체 계보를 우선 개괄하고 통찰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목표를 위해서는 연구와 교육 같은 실질적인 측면들을 비롯하여 정전 연구에 필요한 개념과 사유방식들의 논의가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정전을 정전으로 만들어주는 정전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운용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정전성의 정치학이라는 차원에서 논의한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서 우리는 정전이 무엇이고 왜 문제이며 정전성이 어떻게 작동되어왔으며, 정전 연구와 관련된 서양의 지적 계보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 위에서 정전 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어떤 사고와 개념을 동원하는 것이 필요한지 추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후 전개될 세부적인 연구들이 취해야 할 기본 토대와 방향을 정해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term canon has long been familiar with u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s well as whole culture in the human history. The cultural texts that can be recognized as canon have been created and disseminated from the antiquity to the present in both the East and West. What matters is that now the canon arises as a problem to be faced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his is because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as based itself on the modern West-centered thought through which it adopts the Greek and Roman civilizations as its own roots and thereby underestimates all civilizations outside it. It is not really new to point out that under such modern West-centered view of civilization the dichotomy between empire and colony, civilization and savageness, center and periphery, has been adhered and intensified. The canon has been suggested as a criterion to fix such dichotomy; therefore the canon studies must not be other than discussing the way of criticizing and overcoming that dichotomy. The issue of canon has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as we see that most of the literary and cultural theories since the 20th century have been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canon.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main trends of canon studies particularly in the West and evaluate their merits and demerit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new approach to canon studies. The first aim requires a huge amount of discourse but in this paper I adopt the way of suggesting some items of those trends and commenting them one by one. This way of approach may be appropriate insofar as in order to measure the new horizon of canon studies the work of introducing and discerning the whole genealogy of the canon studies in the West is firstly demanded. For the second aim I discuss such practical dimensions as research and education of canon which are strictly linked to examining the concepts and thoughts required for the canon studies. After all I discuss the politics of canonicit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and operate the canonicity which creates and maintains a canon. This paper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basis and direction that the individual approaches of canon studies will ta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