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인 화운사(華雲寺) 목조아미타불좌상 연구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Hwaunsa­Temple in Yongi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1.12
17P 미리보기
용인 화운사(華雲寺) 목조아미타불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7호 / 149 ~ 165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본 논문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화운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불좌상에 대한 연구이다. 이 불상 복장물에는 여러 쪽으로 분리되어 있기는 하지만 간기(刊記)가 기록된 다수의 『법화경』과 『화엄경』 등 시주자 명단 1매가 남아 있다. 비록 조성년도와 조각승, 조성이력 등을 확실히 알 수 있는 조성기는 없지만, 간기가 있는 경전 및 시주질이 남아 있어 조성년대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된다.
    화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에 대하여 고찰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불복장물에 간기가 있는 4종의 경전과 시주자 명단이 발견되어 이 불상의 조성년대와 참여자 일부를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1628년(崇禎 元年)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밝힐 수 있어서 조선 후반기 초기의 불상으로 편년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둘째, 불상 밑바닥에 ‘西方佛’이라고 묵서되어 있어 정확한 불상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화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西方佛’과 목조약사불좌상 ‘東方佛’은 도상과 양식특징으로 보아 동일 시기에 동일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석가모니불상의 좌우 보처불상으로 조성한 삼세불상(三世佛像)일 가능성이 있어 불상조성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17세기 초기에 조성된 불상들과 비교분석하여 화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의 양식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현진’ ‘무염’ ‘수연’ 유파가 조성했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어 영향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화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의 조형특징 및 작풍으로 미루어 보아 그 당시 최고의 조각승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품격 있고 예술성이 뛰어난 불상임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조성시기를 1628년으로 편년해 보았다는데 연구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enshrined in Daeungjeon of Hwaunsa temple located in Yongin‐si, Gyeonggi‐do. Although the contents‐kept‐inside of this Buddha statue are separated in many ways, there are a number of Lotus Sutra, Avatamsaka Sutra, etc. with imprints recorded, and also, a donator list remains. Although there is no creation document that clearly shows creation year, sculptor monk, and creation record, etc, sutras with imprint and a list of donation remain, which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ronology.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Hwaunsa temp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our Sutras and a list of donators with imprints on the contents‐kept‐inside were discovered, allowing the chronology of the Buddha statues and some of the participants to be examin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ossibility that it was created in '1628 (崇禎元年)', and so the academic value is very high in that the chronicle can be set as Buddha statu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late Joseon era.
    Second, the ink inscription of 'western Buddha (西方佛)' is written at the bottom of the Buddha statues, so the exact theme of the Buddha statues can be seen. Therefore, according to the iconography and style features of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western Buddha (西方佛)’ and the wooden seated Bhaisajyaguru statue ‘eastern Buddha (東方佛)’ in Hwaunsa temple,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created at the same era by the same sculptor monk,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are the left and right attendant Bodhisattva statues of the Shakayamuni Buddha statue in the Three Worlds Buddha statues (三世佛像), which brings about an understanding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Buddha statues.
    Thi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Hwaunsa temple, and in particular, by peeping at the possibility of being created by the school of ‘Hyeon‐jin’, ‘Mu‐yeom’, and ‘Su‐yeon’,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The research significance is in that based on the formative art features and style of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Hwaunsa temple, it is possible to grasp that it was a classy and artistic Buddha statue made by the best sculptor monk at the time, and try to chronicle the time of creation to 1628.
    The fact that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t Hwaunsa temple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studies of the Buddhist sculpture history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