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忠州地域의 百濟 城郭에 대한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the Baekje Fortressin the Chungju Reg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5.02
39P 미리보기
忠州地域의 百濟 城郭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51호 / 213 ~ 251페이지
    · 저자명 : 김호준, 전혁기

    초록

    본고는 충주지역 백제성곽의 기존 연구를 재검토하여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충주와 인접 수계의 백제성곽에 대한 현황을 살폈다. 그리고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 재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탄금대 토성은 기존에 알려진 축조기법 외에도 기반암을 사선으로 깎고, 성 내측에 사선 또는 수평으로 토사나 석재 등을 쌓았던 방식이 존재했음을 파악하였다. 이곳은 내성의 문지일 가능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현지조사 결과 기존에 알려진 토성(내성) 외에 외성과 부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장미산성은 계곡부 성벽과 부뚜막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해야 축조 및 경영 시기를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계곡부 남북 방향의 종단면 분석을 통한 토성과 석성, 부뚜막의 층위 등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조사된 결과와 비교하여 성벽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정리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assess previous research on Baekje fortresses in the Chungju region and present a new perspective. First, an overview of the Baekje fortresses distributed along the Namhan River and Dalcheon River systems in the Chungju area was examined. Additionally, archaeological issues requiring reexamination were identified, leading to the discovery of several significant points of contention.
    Regarding the Tangeumdae Earthen Fortress, it was found that,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known earthen wall (inner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another method involved diagonally cutting the bedrock and stacking soil or stone materials either diagonally or horizontally on the inner side of the fortres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is area served as a gate site for the inner fortress. Furthermore, field surveys suggested the potential existence of an outer fortress and a subsidiary fortress beyond the previously known inner fortress.
    For Jangmisan Fortress,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ley wall and the brazier facility (residential site) is crucial for distinguish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eriods. To achieve this, a detailed stratigraphic analysis of the earthen and stone walls, as well as the residential sites in the valley through a longitudinal section analysis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is necessary. Additionally, a comparison with previous excavation results at Jangmisan Fortress is required to summarize the fortress walls’ unique and common characteristics.
    Jangtaesan Fortress has been recognized as comprising a Baekje earthen fortress at its summit and an outer Goryeo-era fortress.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that the Baekje earthen fortress may have been a double-walled fortress composed of an inner and outer fortress. Moreover, field surveys confirmed the partial remains of an earthen rampart. Therefore, a more in-depth academic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Jangtaesan Fortress.
    Gyeonhak-ri Earthen Fortress is a rectangular earthen fortress adjacent to a river, making it unique. Notably, the spacing of the embankments may have been altered from the previously known 3.3 meters to a narrower range of 1.5 to 1.7 meters. This indicates the need for a detailed academic investigation to reassess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Gyeonhak-ri Earthen For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poses new research topics for understanding Baekje’s waterway expansion along the Namhan River, Baekje’s territorial advancement into the Chungju region, and the struggle between Baekje and Goguryeo over control of this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