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을 이해하는 새로운 코드 —종간공동체론— (A New Code for Understanding Literature : Inter-species Community Theo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5.04
26P 미리보기
문학을 이해하는 새로운 코드 —종간공동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45권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정규식

    초록

    이 글은 문학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우리는,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동물들을 인간과 인간 사회, 인간 내면을 형상화하는 매개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방식이 지속되면서 그것이 우리에게 내면화되었고 문명의 발전을 위해 그들을 수단화, 도구화, 유희화했다. 그리고 종국에는 아무런 의식 없이 폭력을 행사하였다. 이것이 인간의 ‘역사’이다.
    종간공동체론는 이러한 인간 역사를 반성하고 비판하는 데서 출발한다.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동물을 생물학적 ‘동물’ 그 자체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들과 우리가 함께 형성한 역사를 재정의하고자 한다. 종간공동체론에서 중요한 것은 계(系)와 계(界)의 관계이다. 다양한 계(界)가 복잡하게 얽힌 문제는 특정 계의 시각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특정 계의 관점으로 접근하면 오히려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리가 그동안 행한 방식이다.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기후 위기 등 환경 재앙 문제는 인간계(人間界)를 벗어난 생태계(生態系)의 관점으로 접근할 때 해결 가능한 것이다.
    이 글은 또한 종간공동체론의 확장에 관한 대략의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우리는 반려동물, 사육동물, 야생동물 등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 공동체에 대한 정의와 이해, 인식의 방식에 대한 명확한 시선이 부재하다. 각자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실천하고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학문적 고민이 절실하며 많은 사람의 연대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a new way of understanding literature. Up until now, we have understood animals appearing in literary works as a medium that symbolizes humans, human society, and the human mind. As this method continued, it was internalized in us, an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urned them into a means, a tool, and a game. And in the end, violence was committed without any consciousness. This is the ‘history’ of humans.
    Inter-species community theory begins with reflecting on and criticizing this human history. It seeks to redefine the history we have formed together with them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animals that appear in literary works as biological ‘animals’ themselves. What is important in inter-species community theor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and the kingdom. Problems involving complex intertwining of various kingdoms are difficult to solve from the perspective of a specific kingdom. Approach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a specific kingdom can actually cause bigger problems. This is the way we have done so far. The current climate crisis and other environmental disasters we are experiencing can be solved when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ecosystem that transcends the human kingdom.
    This article also contains a rough outline of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inter-species communities. Currently, we are forming communities with companion animals, domestic animals, wild animals, etc. However, there is no clear view on the definiti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is community. Each person understands, practices, and consumes in their own way. As this phenomenon continues, various social problems arise. Academic consideration of this is urgent and solidarity from many people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