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체험의 내면화와 새로운 글쓰기 (Internalization of the Modern Experience and a New Wri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06.02
28P 미리보기
근대체험의 내면화와 새로운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16권 / 41 ~ 68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1920년대를 전후한 시기, 정(情)과 생명을 모토로 하는 개인적 글쓰기 기획은 매체를 통해 유사한 내용과 형식으로 순환, 모방, 재생산 된다. 매체를 지배하고 있던 이 글쓰기 현상은 사적 개인의 등장, 개인적 자아의 발견 등의 문학사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 논문은, 그러한 텍스트들이 명시하고 있는 수많은 개인 저자들이 왜 천편일률적인 한사람의 목소리처럼 기억되는 것인가를 묻는다. 그리고 개인의 감정이라고 표현되는 것의 내용과 글쓰기 방식이 대부분 매우 유사한 양상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이 글쓰기 기획이 지향했던 '공감'보다 위압감이 지배적인 이유, 개인 감정과 자기를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개인보다는 그런 류의 글쓰기 방식을 앞세우고 있는 혹은 앞세울 수 있는 집단(지식인층)의 힘이 더 강하게 감지되는 것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다.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근대 주체의 성립, 개인 내면의 발견에 대한 논의가 가능했던 것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 새로운 글쓰기가 제도화되면서부터 였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러한 새로운 글쓰기 방식으로 등장한 고백체(일기, 편지 등)의 감정 토로가 그와 다른 방식으로 매체를 지배했던 계몽적 글쓰기와 꼭 같은 방식으로 매체를 장악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내밀하지 않지만 개인을 내세우고 있는 그 글쓰기는 글쓰는 사람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는 글쓰기임에는 틀림이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정체성은 근대 개인으로서의 자각, 확립이었다기보다 근대문화를 이끌고, 계몽시키고, 선취해야 하는 조선 근대 문화의 추동자로서의 주체, 즉 집단적 주체에 대한 자각에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그 집단 주체는 매체에서 청년으로 표상되는 근대 주체로, 신교육을 받은 지식인(유학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상윤의 글은 독특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특권화된 제스츄어를 소거시키는 글쓰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지식인의 집단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는 당대의 근대 담론과 달리, 인간 내면을 구심력으로 하는 근대적 개인의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Before and after the 1920's, the individual writing planning, with a motto of human nature and life, was circulated, replicated, and reproduced. This phenomenon of writing that was dominating the media carries an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it shows the appearance of a private person and discovery of an individual ego.
    This paper inquires why myriads of individual authors, whom those texts represent, are remembered as if they were a monotonous single voice. In addition, it pays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which are argued to express an individual emotion, mostly exist in a very similar way. In due course, it attempts to explicate the reasons why the sense of coercion, rather than 'sympathy' which this writing planning aims at, is predominant, and why the force of a group or the elite, rather than an individual, who is representing or can represent this type of writing, is sensed more strongly even though a private feeling and self are emphasized.
    It is undeniable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ego and discovery of an individual mind in the stud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ecame possible since a new way of writing, enabling that discussion, was institutionalized. It is, however, also undeniable that the outpouring of feelings, with a confessional style as in a diary or letter, which showed up due to that novel way of writing, was dominating the media in the same fashion as the writing of enlightenment which wielded the media with another distinct style. The way of writing that is expressional of an individual, if not confidential, seems obviously to be a composing style of securing the author's identity. The identity, here, is assessed to be a rea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ollective subject, rather than a modern individual, that acts as a trigger for the modern culture of Joseon, with an obligation to lead, illuminate, and preoccupy modernity. That collective subject, symbolized as a youth in the media, is a modem nucleus, and can be embodied in an intellectual benefited from a new education, i.e., a student having studied abroad.
    In this context, the writings of Sang-yoon Hyun are uniquely situated because they are eliminating the privileged gesture. He, unlike the other those-days modern discussions that were continuously ascertaining the collective identity of intellectuals, was a modern individual who ventured on a writing with a center around the human inter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