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印刻瓦의 새로운 유형과 변천과정 (A new identify of Baekje stamped-roof tiles and its transformation proces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11
39P 미리보기
백제 印刻瓦의 새로운 유형과 변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9권 / 91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초록

    본고는 최근 조사가 이루어진 공주 공산성 내 백제 왕궁관련유적에서 출토된 기와 중에서 새롭게 확인된인각와를 중심으로 백제 인각와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인각와에 시문된 三山文과 仙人文의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기존에 공산성에서 발굴조사된 인각와는 많지 않았으나, 최근 공산성 내 백제 왕궁관련유적에서 다수의 인각와가 확인되었다. 공산성출토 인각와는 인장의 유형에 따라서 방형과 원형인장으로 분류되며, 각인된 내용에 따라 문양인각과 명문인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양인각와는 방형과 원형인장이 확인되는데, 가로 8~10, 세로 5.5~6.5㎝크기의 장방형 문양판에 三山文 과 仙人文 등이 날인되어 있는 것과 지름 3.5~2.5㎝크기의 원형의 문양판에 기하문과 파문이 시문된 문양 인각와로 구분된다. 층위상 장방형 문양인각와는 웅진도읍기에 집중되어 확인되며, 이와같은 유형은 지금까지공산성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원형의 문양인각와는 3.5㎝내외의 크기와 2.5㎝내외의 크기로 구분되는데, 2.5 ㎝내외 크기의 인장은 사비도읍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확인되어 선후관계를 살필 수 있다.
    명문인각와는 원형과 방형인장으로 확인되는데, 지름 3.3~4㎝내외 지름의 원형인장에 ‘王’ ‘久’ ‘下’ ‘古’ 자문이시문되어 있다. 특히 ‘古’ 자문은 右書로 반듯하게 날인되어 있는 반면에, ‘王’ ‘久’ ‘下’는 左書로 글자가 뒤집어져날인되어 있다. 인각와의 연대를 살필 수 있는 ‘大通’(527)명 인각와의 경우 우서로 반듯하게 날인되어 있고, 7세기 이후 사비 · 익산지역 출토 인각와의 인장이 대부분이 지름 2.5㎝내외의 소형에 우서로 날인되어 있는 것을감안할 때, 좌서의 인장이 3.5㎝ 내외로 큰 인각와가, 우서의 인장이 작은 인각와 보다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을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산성 출토 인각와를 비롯하여 7세기 대에 사비 · 익산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 인각와를 함께비교분석한 결과, 인장은 문양이 시문된 장방형의 문양인각에서 명문과 문양이 작게 시문된 원형과 작은 방형인각으로 변한다. 인장 내의 글씨는 바르게 양각하여 기와면에 글씨가 거꾸로 날인된 左書 형태에서, 인장에 글씨를 거꾸로 음각하여 기와면에 글씨가 바르게 양각 날인되는 右書 형태로 변화하여 7세기대에는 상하조합식 인각와가 성행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공산성 백제 왕궁관련유적의 방형 석축연못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 삼산문 · 선인문 인각와는 문양의 특성상 무령왕릉 은제탁잔과 금동대향로, 산경문전 등에 시문된 삼산문의 형태와 비교가능하며, 신선사상의 道家的 표현일 가능성을 살필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웅진도읍기 백제 왕궁 내부에 방형 연못 주변에 왕권의신성화를 위한 도교적 사유체제의 기원이 반영된 누각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즉 三 山文과 仙人文이 시문된 인각와는 왕실건물 중심의 수요체계에 대한 공급자의 표현으로서의 문양인장과 더불어 왕실 건물의 상징성과 정치적 기원에 대한 목적이 함께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ekje stamped-roof tiles newly identified among the tiles in Baekje Dynasty period excavated from the Baekje royal palace ruins within the Gongsanseong Castle in Gongju, which have been subject to recent surveys and investigation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Samsanmun(三山文)’ and ‘Suninmun(仙人文)’ engraved in the stamped-roof tiles. There are not many stamped-roof tile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near the Gongsanseong Castle but, in recent years, quite a few stamped-roof tiles have been discovered and identified at the Baekje royal palace ruins. The stamped-roof tiles excavated near the Gongsanseong Castle are classified into the square tile and the circular tile based on the type of tensile with the engravings classified into the pattern the inscription.
    The stamped-roof tiles with pattern come in both square and circular tiles, some of which are stamped with ‘Samsanmun’ and ‘Suninmun’ on the rectangular pattern plate sized 8-10㎝ in length and 5.5-6.5 in width while others are engraved with a short phrase. The stamped-roof tiles with the rectangular pattern on top layer are identified to have been massively excavated during the period of the capital of Woongjin, and the tiles with these patterns have been excavated at Gongsanseong Castle only. The stamp at the size of 2.5㎝ or so continued to be discovered following the period of the capital of Sabi, enabling us to make clear the order of events and their implications.
    The stamped-roof tiles with quotes come in both circular and square shape and such characters as ‘王’ ‘久’ ‘下’ and ‘古’ engraved on the seal with a diameter of about 3.3~4cm. In particular, the character '古' is stamped straight in right hand writing, while ‘王’ ‘久’ and ‘下’ are stamped upside down in the left hand writing.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大通’(527) stamped-roof tiles that indicate the period of stamped-roof tiles are stamped straight in right hand writing and that most stamps on the stamped-roof tiles excavated in Sabi and Iksan regions from the 7th century come in small size with a diameter of about 2.5㎝, the stamped-roof tiles in the left hand writing are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earlier than the ones in the right hand writing.
    The stamped-roof tiles with ‘Samsanmun’ and ‘Suninmun’ on them excavated at Gongsanseong Castle Samsanmun and Suninmun were extensively discovered near the square-shaped stone-walled pond as part the Baekje royal palace remain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pattern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with the form of Samsanmun inscribed in the cup with stand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aoistic expression. These indicate a possible existence of a pavilion around the square pond inside the Baekje palace during the period of the capital of Woongjin, reflecting the origin of the Taoistic philosophical system designed to sanctify the kingship. That is, it is highly likely that stamped-roof tiles inscribed with ‘Samsanmun’ and ‘Suninmun’ aimed to represent, through the patterns, the symbolism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royal building along with the supplier's expression as opposed to the demand system centered on the royal buil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