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芸齋 尹濟述의 敎育과 政治思想 (The educational Thoughts and political thoughts of Woonjae Yun Je-Sul)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10
35P 미리보기
芸齋 尹濟述의 敎育과 政治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53호 / 187 ~ 221페이지
    · 저자명 : 이은혁

    초록

    본고는 현대의 교육과 정치사에서 큰 족적을 남긴 芸齋 尹濟述(1904∼1986)의 교육사상과 정치사상을 논한 것이다. 운재는 어린 시절부터 유가경전을 섭렵하고 志學의 나이에 계화도의 艮齋 田愚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으며, 신학문으로 전향하여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25년간 교육계에 종사하였고, 광복 후 정계에 투신하여 연6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가이다. 운재는 구학문에서 신학문으로, 교육자에서 교육가로, 교육가에서 정치가로 거듭나며 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운재의 교육사상은 한마디로 ‘진실’ 즉 ‘誠’이다. 진실은 ‘毋自欺’ 또는 ‘無自欺’로 대치할 수 있다. 운재는 誠을 교육이념으로 삼고 구체적인 실천이념으로서 ‘誠以貫之’를 제시하였다. 誠으로 일관하는 교육이야말로 시대의 요청이며 ‘진실’보다 더 깊은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는 확신 때문이었다. 운재는 자신의 교육이념인 誠자를 ‘忠’과 ‘盡己’로 부연한다. 모두 유학적 개념으로 내면적 진실성과 관련이 있는 한자이다. 운재의 교육이념이 ‘誠’을 넘어 ‘忠’으로 확장되고 ‘盡己’로 구체화되면서 보다 실천적인 교육이념이 되었다. 운재는 간재선생의 일생은 ‘勤과 誠의 표본’이라고 역설하며, 운재가 일생 교육의 모토로 삼아 실천해왔던 誠이 간재의 학문 태도에서 본받았다는 점은 교육자의 수범적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운재의 정치사상은 유가의 德政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당시에 직면한 국가적 위기와 사회적 문제는 근본적으로 도덕정치를 통해서만 해결가능하다고 보았다. 교육이나 정치나 공히 사람을 바로하기 위한 것이며, 올바른 사람이 구성원을 이루어 사회와 국가를 이루고, 그런 건실한 사회와 국가에서 온전한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순환론적 세계관이 자리한다. 운재는 정치에서 出處觀을 분명히 하고 선비정신을 중시하였다. 운재의 정치사상은 덕을 강조하고 출처를 분명히 하며 절의를 지킬 줄 아는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삼는 것이지만, 정치는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정치와 교육이 근본적으로 동일한 목적을 가질 때 사회적 혼란을 해결할 수 있으며, 국가의 안녕과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믿었다.
    현대사에서 운재는 진실한 교육가이자 올곧은 신념과 굳은 강단을 지닌 보기 드문 선비정치인으로 회자되고 있다. 시대가 변했지만 그가 어린 시절부터 익힌 유학 정신은 결코 퇴색함이 없었다. 급변하는 현실에서도 진실과 정의의 가치는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몸소 실천하였다. 桎梏의 시대에 굴하지 않고, 교육과 정치에서 일관되게 유학 정신을 몸소 실천한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큰 의미를 안겨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 discussion about the life and ideology of Woonjae Yun Je-sul that left a significant market in th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and politics. He was well-read i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s a child and started to study under Ganjae Jeon Woo in Gyehwado at the age of 15. He later moved to Japan where he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Tokyo Higher School of Education. He served in the community of education for 25 years and devoted himself to the political world after Liberation. He becam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at served six straight terms. He kept evolving from a scholar of old study to that of new study, from a teacher to an educationist, and from an educationist to a politician, leaving a huge mark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His educational ideology can be summarized in one word "truth" or "Seong(誠)." Truth can be replaced with the "state of no deceiving oneself." He took "truth" as his educational ideology and proposed a specific idea of practice that was "being consistent with truth and sincerity." It came out of his conviction that it was an answer to the request of the times and that there could be no more profound teaching than "truth." He then elaborated on his educational ideology with "loyalty" and "Jingi," both of which are Confucian concepts and have something to do with internal truthfulness. "Truth," which he practiced as a lifelong motto for education,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a teacher to set an example with his or her act.
    Yoon's political ideas were based on the moral politics of Confucianism. He believed that Joseon would be able to solve the national crisis and social issues only through moral politics basically. He had a circular view of the world, which maintained that both education and politics should help to set people right and that right people should make up the society and the state and enjoy a full happy life in the society and the state. Leading a political life, he made clear sources and put an emphasis on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Although his political ideology emphasized morality, made clear sources, and was based on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that remained loyal to their principles, he claimed that politics must have an educational purpose. It was his belief that politics and education could resolve social confusion and ensure the well-being and happy life of the nation when they fundamentally had the same purpos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Yun Je-sul is considered as a truthful educationist and politician that practiced his straight faith and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Although the times changed, he did not let the Confucian spirit that he learned as a child fade away. He practiced himself the idea that the value of truth and justice should always be guarded even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He did not succumb to the dismal times and practiced the Confucian spirit consistently both in education and politics,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to modern people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