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 민주수업』과 ‘저층문학’의 새로운 가능성 (A Lesson on Democracy and New Possibilities of ‘Underclass Literatur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09
23P 미리보기
『 민주수업』과 ‘저층문학’의 새로운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15호 / 89 ~ 111페이지
    · 저자명 : 성근제

    초록

    曹征路는 최초의 ‘저층문학(底層文學)’ 작품인 「그곳(那兒)」의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층’이라는 개념에는 확실히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주요한 고민 가운데 하나가 담겨 있다. 1990년대 중반 대규모 실업 노동자와 농민공의 출현의 출현으로 이른바 사회주의 사회의 주도계급이었던 ‘무산계급’이 실제로는 사회적 생산 과정과 분배 구조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하층 계급이라는 사실이 도시의 일상을 통해 그대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90년대 중국의 도시에 출현한 이 새로운 사회적 존재들은 더 이상 사회주의 국가의 주인, 혹은 사회주의 사회의 주도계급이라는 관념으로 단단히 포장되어 있는 ‘무산계급’, ‘노동자(工人)’라는 개념을 통해 표상해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저층’이라는 개념은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분식되어 있던 노동자들의 실제 사회적 지위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준다. 흥미로운 지점은 「그곳」 이후로 조정로의 관심과 사고가 오늘날 중국 사회가 안고 있는 핵심적 문제(곤혹)의 역사적 뿌리를 더듬어 나아가는 방향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문화대혁명 시기 조반의 경험과 기억을 다루고 있는 『민주수업(民主課)』은 바로 이러한 맥락 속에서 나온 작품이다.
    『민주수업』의 가치는 우선 장편 소설로서는 유일하게 문화대혁명의 실제적 전개 과정과 조반의 ‘진상’을 묘사해 낸 작품이라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더 중요한 가치는 바로 이 작품이 문화대혁명의 역사를 ‘현재’ 중국 사회의 문제 및 과제와 연결시켜 내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에 대한 단순한 회고담이 아니다. 적어도 이 작품 속에서 조반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살아있는 중국사회의 현재적인 정치적 과제임이 작중 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환기되고 있다. 이 농후한 ‘현재성’은 『민주수업』이 단순한 과거 역사에 대한 증언이나 기록의 차원을 넘어 새로운 ‘민중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는 작품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이유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민주수업』은 이제까지 어떤 작품도 그려낸 바 없는 문화대혁명 시기 조반파들의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 보여준다. 때문에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조반의 내면과 동기, 조반이 진압되는 과정, 나아가 개혁개방 이후 이들이 중국 사회의 거대한 변화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을 개혁개방 이후의 주류 서사와 구별시켜 주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 작품이 그려내고 있는 조반자들의 현재적 시각을 통해 우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를 바라보는 중국 사회 ‘저층’ 인민의 시선과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비로소 접할 수 있다. 어쩌면 이 시선과 문제의식이야말로 문화대혁명 시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줄곧 억압받고 소외되어 온 중국 사회 ‘민중’의 시선을 대표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그곳』 이후 『問蒼茫』에 이르는 일련의 ‘저층문학’ 작품들을 통해 조정로가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 ‘저층’ 인민의 투쟁과 그 내면을 집요하게 추적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민주수업』이 제시하고 있는 역사관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과 주석에 해당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가 『민주수업』과 「그곳」에서 『問蒼茫』에 이르는 일련의 작품들을 겹쳐 읽어낼 수 있다면 오늘날 중국의 ‘저층문학’이 새로운 민중문학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돌파구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영어초록

    Cao Zhenglu (曹征路) is well known as the writer of the “There(那兒)”, which is the first work in underclass literature (底層文學). The concept of ‘underclass’ certainly contains one of the major concerns of Chinese society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In the mid-1990s, with the emergence of huge numbers of unemployed and rural exodus workers, the fact that the so-called ‘proletarian class’, which was the leading class in the socialist society, is in fact a lower class completely excluded from social production processes and distribution structures, was plainly revealed in urban everyday life. These new social beings that emerged in the cities of China in the 1990s could no longer b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proletarian class’ or ‘workers’. This concept was defined by the notion that they are the masters of the socialist state or the leading class in the socialist society. The concept of ‘underclass’ plainly reveals the actual social status and reality of the workers, which has been window-dressed by the socialist ideology.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since publishing “There”, the interest and thinking of Cao Zhenglu focused into the direction to trace the historical roots of the core problem (embarrassment) held by Chinese society today. The book A Lesson on Democracy, which deals with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insur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a work that stemmed from this context.
    The value and impact of A Lesson on Democracy is first in the fact that it is the only feature-length novel that depicts the actual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truth’ of the insurrection. The more important value of this work, however, is secondly that it links the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with the problems and tasks of the ‘present’ Chinese society. Thus, this work is not only a simple reminisc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fact that the critical mind of insurrection is a still necessary current political task of Chinese society is constantly present through the utterances of the characters in this work. This rich ‘currentness’ is one of the reasons why A Lesson on Democracy should be newly illuminated as a work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 ‘People’s Literature’ beyond the level of a simple testimony or the records of the past. A Lesson on Democracy reveals and shows a concrete picture of the insurrectionist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has never been drawn in such a way by any work so far.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ough dimly, the inner side and motive of the insurrection, the process with which the insurrection was suppressed, and how the insurrectionists have lived in the great changes of Chinese socie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This is the biggest difference that distinguishes this work from mainstream narratives publishe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Only through the current perspectives of the insurrectionists presented in this work, we can face the view and sharp critical mind of the ‘underclass’ people of China society to really see the Chinese society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Perhaps this view and critical mind represents the view of the ‘people’ of Chinese society, who have been continuously oppressed and alienated from th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until to the present.
    When seen in this sense, the persistent trace of the struggles of the ‘underclass’ people of the Chinese society and the inner side of these struggles visualized by Cao Zhenglu through a series of ‘underclass literature’ works ranging from “There” to WenCangMang(問蒼茫) perhaps corresponds to concrete commentaries and comments about the historical view presented in A Lesson on Democracy. If we read through the series of works ranging from A Lesson on Democracy and “There” to WenCangMang, one after the other, we may be able to get an important hint of the breakthrough for the ‘lower class literature’ of China today to develop into ‘new people’s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