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무의 연행형태에 대한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the Performance Type of Ilm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08.06
38P 미리보기
일무의 연행형태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40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권태욱

    초록

    본 연구는 문화의 독자성(獨自性)이 중시되고, 중국과의 문화적 차별성이 요구되는 21세기에, 중국문화와 관계있는 한국 일무(佾舞)문화의 독자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다산(茶山)의 견해를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첫째, 문묘(文廟) 및 종묘제례(宗廟祭禮)에서 사용되는 무구(舞具)와 관련된 내용으로 치미(雉尾)가 위로 올라간 형태의 무구를 우(羽)로, 꿩 깃털이 아래로 내려간 무구를 적(翟)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현행 문묘제례의 문무(文舞)에서 오른 손에 잡는 무구는 치미(雉尾)가 위로 솟은 우(羽)를 사용함이 옳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현행 종묘일무(宗廟佾舞)의 무무(武舞)에서 오른 손 한 손만 창(槍)이나 칼(刀)을 들고 춤추는 형태에 대하여 그 부조화를 지적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 및 중국 문헌과도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음양(陰陽)의 조화를 강조하는 동양사상과도 어긋나기 때문이다.
    일무형태의 새로운 방향모색을 위하여 일무의 기원, 고대 일무의 형태론, 그리고 새로운 일무형태의 전망을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제례의식에서 춤추는 일무의 기원은 성공한 사람이 공덕(功德)을 몸짓으로 표현한 상징적 동작이었다. 둘째, 고대 일무형태는 연극적 요소가 가미된 연희(演戱)와 같은 형태로, 곧 64명의 무용수(舞踊手)가 각각 고유한 의상(衣裳), 고유한 의미, 고유한 춤동작으로 행한다고 다산은 지적하였다. 셋째, 반드시 천자(天子)만이 악무(樂舞)를 창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공덕이 많으면 임금도 악무(음악과 무용)를 창제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우리나라 태조 이성계의 예를 들어 새로운 한국적 일무창제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on the base of Tasan's view about how to emphasiz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lmu 佾舞 (ritual dance) which is related to Chinese culture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cultural identity is seriously considered and our cultural difference from that of China is required.
    First, about the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Confucian shrine (Munmyo 文廟) and the sacrificial ritual for ancestral shrine of Royal family (Chongmyo cherye 宗廟祭禮), I prescribe the instrument that a pheasant's feather (ch'imi 雉尾) is on upright position as u 羽, and the instrument that pheasant's feather is on downward as wooden dragon's head, chŏk 翟.
    Second, I indicate that u should be used as the right instrument grabbed by right hand in the current Confucian ritual of shrine. Third, I point out the inconformity of the dancing type where a lance or a sword is carried in just one hand in current military dance of ilmu in the ancestral shrine. The reasons of inconformity are that they are not correspondent between Korean documentary records and Chinese ones, and that they are not in accordance with Orientalism which stresses the harmony between negative (ŭm 陰) and positive (yang 陽).
    Besides, this study is to seek a new approach to ilmu in terms of the origin of ilmu, the ancient formation theory of ilmu, and the new prospect of ilmu from the view of Ta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ilmu is a symbolic motion in the rituals to show the public morality of successful men in life. Second, ancient form of ilmu, as Tasan indicated, had some entertainment phrases including dramatic elements performed by sixty-four dancers who have unique clothes, characteristic meanings, and different dancing movements one another. Third, the study presents the invention of new Korean ilmu such as the story of King Taejo, Yi Sŏng-gye 李成桂 in Chosŏn on the presupposition that an emperor can not only create court dance and music, but a monarch can also create court dance and music in case that his majesty has much civil virt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