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藕益智旭 『中庸直指』의 “中庸” 槪念 考察 (A Study on “Zhongyong (中庸)” Notion in『Zhongyongzhizhi (中庸直指)』 of Ouyi Zhixu (藕益智旭))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2.03
39P 미리보기
藕益智旭 『中庸直指』의 “中庸” 槪念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0권 / 70호 / 199 ~ 237페이지
    · 저자명 : 박소현

    초록

    藕益智旭은 明代四大高僧 중 한 사람으로,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중용직지』는 유가의 소의경전인 『중용』을 ‘援儒入佛’로서 불가의 논리로 해석하고 있다.
    『중용』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중용’에 내포된 함의를 儒佛道 각각 대표 저서에서 말하고 있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중용의 ‘中’을 體用 관계에서 논하고 있다. 즉, ‘中’에는 ‘不偏不倚’의 ‘未發之中’으로서 본체(體)의 의미와 ‘無過不及’의 ‘時中之中’의 작용(用)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아울러, ‘庸’을 中과 별도로 존재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中’이 곧 ‘庸’이라 하여, 일상의 평범하고 떳떳한 도리가 곧 ‘中’이라 말하고 있다.
    ‘中’의 한 글자 안에서 體用 양 측면을 논했던 주희와는 달리, 지욱은 ‘中庸’ 2글자를 體用 관계로 설정하여 ‘中’과 ‘庸’을 兩者의 수평관계로 인식하였다. 또한, 지욱은 그의 사숙인 감산덕청과 같이 ‘中庸’과 관련하여 ‘性量’과 ‘性具’로 분리하여 體用을 논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性量’과 ‘性具’의 체용 두 관계가 독자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존재한 것이 아니라, 體用을 융합하여 본체와 하나가 된 작용, 즉, 현상 작용과 하나가 된 본체를 밝혀 ‘體用一如’, ‘性相圓融’의 究竟 도리를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익은 비록 유가의 소의경전인 『중용』을 천석하고 있지만, 주자학의 해석과는 전혀 다른 佛家의 논리로 체계화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는 선천적 성품인 ‘本覺’의 측면에서 논급한 것이기에 聖者와 凡夫가 동일한 佛性의 體用으로 논한 것이다.
    우익의 四書 闡釋의 두드러진 특징은 감산덕청의 四書 闡釋에 비해 더욱 직접적으로 불교의 용어를 내세우며, 보다 佛家적 색채를 확고하게 드러난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는 당시 유불 융합을 통해 佛家를 쇄신하고자 했던 佛家의 종단적 노력과 동시에 유불 융합은 물론 朱王의 사상적 융합이 드러나는 明代 사상사적 특징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Ouyi Zhixu (藕益智旭) is one of four priests of high virtue in the Ming period and his representative work 『Zhongyongzhizhi (中庸直指)』 is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Confucian scripture 『Zhongyong』 as ‘engaging Confucianism with Buddhism (援儒入佛)’ in terms of Buddhist logic.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of ‘Zhongyong’, one of the main notions in 『Zhongyong』, in different volumes of representative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books.
    Zhuxi discussed the letter ‘Zhong (中)’ in the relation of noumenon (體) and action (用). In other words, he claimed that the letter ‘Zhong’ incorporates a meaning of noumenon as ‘emotions not arisen yet (未發之中)’ of ‘neither biased nor inclined (不偏不倚)’ and the other meaning of action in ‘flexible ethics in different circumstances (時中之中)’ of ‘neither excessive nor lacking (無過不及)’. In addition, he did not consider that the letter ‘Yong (庸)’ is a separable notion from Zhong but perceived ‘Zhong’ as ‘Yong’ itself, arguing that the ordinary and fair way of everyday life is literally ‘Zhong.’ While Zhuxi covered both aspects of noumenon and action in the single letter of ‘Zhong’, Zhixu set the two letters of ‘Zhongyong’ as the relation of noumenon and action, perceiving ‘Zhong’ and ‘Yong’ as a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two. In addition, Zhixu discussed ‘Zhongyong’ with separated notions of ‘Xingliang (性量)’ and ‘Xingju (性具)’ with his academic admirer Hanshan Deqing to study noumenon and a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lation of noumenon and action with ‘Xingliang’ and ‘Xingju’ does not exist in an independently separated manner but noumenon and action are integrated, which means the action united with the noumenon. In other words, he clarified noumenon united with the action phenomenon, mentioning his investigational manner of ‘oneness of noumenon and action’ and ‘smooth integration of Xing and Xiang (性相圓融).’ Though Ouyi attempted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fundamental Confucian scripture 『Zhongyong』, it is found that his interpretation was organized in Buddhist logic, which is thoroughly different from that of Zhuxi Studies. It was a discussion in terms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natural character, so he claimed noumenon and action with the same Buddhist quality both in saints and ordinary people.
    What is noticeable in detailed interpretation of four scriptures by Ouyi is that he put up Buddhist terms more directly than that of Hanshan Deqing and presented Buddhist tones more firmly. It was efforts of the Buddhist realm which tried to reform Buddhism through integ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also a feature of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Ming period that exhibits Zhu-Wang ideological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