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의 서사적 변주 양상과 주제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ories of China’s「 Duawon」, 「Geumswaegi」, and Korea’s「 Jeonghyobujeon」- Focusing on the Epic Variations of 「Ugongg and Donghaehyobu」 History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3.06
31P 미리보기
중국의「 竇娥冤」, 「金鎖記」와 한국의「정효부전」 서사 비교 연구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의 서사적 변주 양상과 주제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식융합연구 / 6권 / 1호 / 53 ~ 83페이지
    · 저자명 : 조재현

    초록

    본 연구는 「于公과 東海孝婦」 고사를 수용한 한중 작품 「竇娥冤」, 「金鎖記」, 「정효부전」에 나타나는 서사 변주 양상과 주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漢書』, 『搜神記』에 수록된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의 의미를 찾고, 「두아원」과 「금쇄기」는 두 가지 이야기를 모두 수용하였으나 「정효부전」에서는 명철한 관리를 상징하는 우공을 중요시하게 여기는 인식을 반영하여 『한서』에 수록된 고사만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밝혔다.
    주제적인 측면을 살펴보았을 때, 「두아원」은 부조리한 현실로 인해 억울한 죽음을 당한 여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면, 「금쇄기」는 천상계와 수궁계를 개입시켜 현실계의 갈등을 약화시키는 대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정효부전」에서는 효열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정씨부인이 「금쇄기」보다도 더욱 다양한 환상계를 여행하며 보상으로 남편과 함께 현실계로 귀환할 뿐 아니라 가문을 부흥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우공과 동해효부」 고사에서부터 나타나는 ‘송사의 부당함과 여성의 원통함’이라는 주제는,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창작된 개별적인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효열의식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그 이면에는 왕조 말기의 혼란함을 유교적 가치의식의 강화로 극복해 보고자 하는 보수적 대응방식이 문학작품에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금쇄기」, 「정효부전」은 이러한 의식이 반영된 문학 개작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rratives and themes that appear in Korean-Chinese works 「Duawon」, 「Geumswaegi」, and 「Jeonghyojeon」, which accepted the hi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To this end, the meaning of 「Wukong and Donghae Hyobu」 in 『Hanso』 and 『Susingi』 was found, and 「Duawon」 and 「Geumswaegi」 accepted both stories, but 「Jeonghyobujeon」 was based only on the history contained in 『Hanso』.
    Looking at the theme aspect, 「Duawon」 critically represents the problem of women who were killed unfairly due to absurd reality, while 「Geumswaegi」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instead of weakening real-world conflicts through the heavenly and the royal world. In 「Jeonghyojeon」, Mrs. Jeong, who sacrificed her life for ‘filial piety-fidelity’, travels to a more diverse fantasy world than 「Geumswaegi」, not only returning to reality with her husband as a reward, but also reviving the family.
    The theme of "unfairness of trial and women's resentment" from the story of 「Ugongg and donghaehyobu」 has been transformed into a work that emphasizes women's sense of filial piety despite being individual works creat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the conservative response method to overcome the confusion at the end of the dynasty by strengthening the Confucian sense of value worked in literary works. 「Geumswaegi」 and 「Jeonghyojeon」 can find meaning in terms of showing the direction of literary adaptation reflecting this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식융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