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컨설팅을 위한 사용자 중심형 대화형 AI 플로우차트 개발 (A Study on User-Centered Conversational AI Flowchart Development for Interior Fabric Design Consulting)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3.12
8P 미리보기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컨설팅을 위한 사용자 중심형 대화형 AI 플로우차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855 ~ 862페이지
    · 저자명 : 양정아, 안성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홈 퍼니싱 산업 분야에서 공간적 연계성을 많이 가지고 있는 인테리어 패브릭 분야의 디자인 컨설팅은 주로 사람이 대면으로 진행해왔으나 개인화된 대화형 AI서비스의 확대와 팬데믹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는 인테리어 관련 소비 다양화 등에 힘입어 온라인화의 니즈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컨설팅 챗봇 서비스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인테리어 패브릭 컨설팅 서비스 제공을 전제로 구현 가능한 대화형AI 챗봇의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과 플로우 차트를 디자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더불어 사용자 경험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턴트 32명의‘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 대상‘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컨설턴트의 경력 수준과 사용자의 구매 성향을 중심으로, 컨설턴트는 초급, 중급, 리더급으로 나누고 사용자는 리더형, 협조형, 우유부단형으로 나눠 각각 3가지씩 6가지의 페르소나를 개발하였다. 컨설컨트와 사용자 양쪽의 유형과 컨설팅 프로세스의 매칭을 통해 챗 봇 서비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 시나리오(user scenario)3가지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대화형 챗봇 시나리오 IA 플로우 차트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인테리어 패브릭 분야의 컨설팅의 온라인화되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대화형 AI챗봇 서비스의 디자인컨설팅 분야와의 접목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화된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의 온라인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한계를 탐구하고,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의 융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용자의 현재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기술과 디자인 컨설팅이 교차되는 미래의 인테리어 디자인 도메인에서 사용자의 변화하는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AI 기술과의 접목에 대한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Research) Within the realm of home furnishing, the traditional approach to design consulting in the interior fabric sector, marked by significant spatial correlation, relies on face-to-face interactions. However, the landscape is rapidly transforming owing to the proliferation of personalized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rvices and the discernible shift in trends related to interior consumption diversification, particularly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This shift has led to a notable increase in the demand for online services.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these emerging needs by investigating the potential implementation of a conversational AI chatbot for design consulting in the interior fabric sector, emphasizing the provision of tailored services based on user types. The primary objectives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service scenarios and the design of flowcharts for interactive AI chatbots. (Method) A dual approach involving literature review and user experience research methodologies was employed. Thirty-two consultants were interviewed to elicit valuable insights into consulting services, and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service users to comprehensively analyze and categorize their preferences. (Results) Through the meticulous alignment of consultant and user types with the intricacies of the consulting process, three distinct user scenarios for chatbot service design were derived. Subsequently, based on these scenarios, Interactive AI chatbot scenario IA flowcharts were developed to illustrate dynamic interactions and decision points within the chatbot service. (Conclusion) Based on the consultant’s career level and the user’s purchasing tendency, consultants were divided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leader levels, whereas users were divided into leader, cooperative, and indecision types; thus, six personas were developed. This study, cognizant of the evolving landscape in the online transformation of interior fabric consulting, introduces a service model that integrates conversational AI chatbot services with established design consulting practices. This model aims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hat cater to the individual needs of users. Moreover, this study delves into the potential limitations that may arise in the online transition of interior consulting services. It also suggests possibilities for the convergence of online and offline services, considering the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Consequently,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meeting the current demands of users but also anticipates future trends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design consulting within the interior design domain. The proposed model underscores the adaptability and integration of AI technologies in addressing the evolving needs of users in the home furnishing and interior design se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