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반영된 사행(使行) 관련 이야기 연구 (A study on the story related to an envoy's journey reflected in the Eouyada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0.08
32P 미리보기
&lt;어우야담(於于野談)&gt;에 반영된 사행(使行) 관련 이야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5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한태문

    초록

    이 글은 최초의 야담집인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사행(使行) 관련 이야기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어우야담> 속 사행 관련 이야기는 유몽인의 직접적인 사행 참여와 간접적인 독서 경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직접적인 참여는 3차례의 중국 사행과 2차례의 중국 사신을 접반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고, 간접적인 체험은 중국이나 일본으로 사행을 떠났던 사행원들이 남긴 ‘사행록’이나 ‘문집’에 대한 독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중국 사행 관련 이야기는 크게 ‘점복과 신앙’, ‘致富와 무역’, ‘학문과 문학’, ‘서화와 생활문화’ 등으로 나누어진다. ‘점복과 신앙’ 관련 이야기는 관상 및 죽음과 관련한 점복이 많았고 사행을 통한 점복의 교류 및 불교에 대한 선비의 인식과 천주교의 교리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치부와 무역’ 관련 이야기는 사행원의 치부와 무역이 물욕의 여부에 따라 행복과 불행의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권력욕과 결부되면 그 결과가 비극적임을 보여준다. ‘학문과 문학’ 관련 이야기는 부적절한 학습교재의 선택이 초래한 학력 저하, 조선 사행원의 시문에 대한 중국인의 평가와 중국 사신들의 시문에 대한 유몽인의 평가, 조선 사행원의 독서벽과 총명강기 등을 다루었다. ‘서화와 생활문화’ 관련 이야기는 조맹부의 서체, 황기로의 초서, 중국 사신 김식의 그림 감식안 등과 중국의 정원, 절부가 없는 湖廣지방의 풍속 등 생활문화를 다루었다.
    일본 사행 관련 이야기는 중국 사행에 비해 수도 적고 내용도 다양하지 않지만, 계해통신사(1443) 신숙주, 경인통신사(1590) 김성일, 탐적사(1604) 유정과 관련된 내용과 일본국왕사의 이름에 대한 언어유희, 왕의 칭호가 없는 유구국, 살인을 숭상하는 일본 풍속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이처럼 <어우야담>은 첫 야담집임에도 불구하고 사행 관련 이야기를 많이 수록되고 있는데, 이후 각종 야담집에서도 자료가 발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야담 연구에서 ‘사행담(使行譚)’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출현을 기대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tory related to an envoy's journey reflected in the Yu Mong-In's Eouyadam the first unofficial historical storybooks. The story of an envoy's journey in Eouyadam was made through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envoy's journey and indirect reading experience. Direct participation was made in the course of an envoy's journey to China and the reception of Chinese envoys. The indirect experienc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reading experience of a record of envoy's journey or Anthology left behind by the envoy who went to China and Japan.
    The stories related to the envoy's journey to China are largely divided into “divination and faith,” “making money and trade,” “study and literature”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Living Culture.” The story of “divination and faith” contained many fortunes related to physiognomy and death, exchanges of divination through envoy's journey, and criticism of the classical scholar's perception of Buddhism and the Catholic doctrine.
    The story of “making money and trade” shows that the making money and trade of a member of the envoy brings about the results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materialistic and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the desire for power, the result is tragic. The stories related to “study and literature” dealt with the decline in academic ability caused by the choice of inappropriate learning materials, the Chinese assessment of the Choseon's poetry and the Yu Mong-In's assessment of the Chinese envoys' poetry. The stories related to “The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and Living Culture” dealt with the life culture, including the handwriting of the Cho Maeng-bu, Cursive characters of the Hwang Gi-Ro, the painting connoisseur of the Chinese envoy, and the Chinese garden and customs.
    The story of envoy's journey to Japan contents about Gyehae- Tongshinsa(1443) Shin Sook-ju, Gyeongin-Tongshinsa(1590) Kim Seong-il, Tamjeoksa(1604) Yu-Jeong. It also the contents of a speech play on the name of a Japanese envoy, Ryukyu without the title of the king, and the Japanese custom of revering murder.
    Like this, Eouyadam contains many stories about the envoy's journey, even though it is its first unofficial historical storybooks, which makes us expect a new type of suggestion in the story of envoy's journey in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