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담(愚潭) 성리설과 율곡설 사이의 간격 (Distance between Theories of Udam and Yulg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6.12
22P 미리보기
우담(愚潭) 성리설과 율곡설 사이의 간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9호 / 467 ~ 488페이지
    · 저자명 : 최영성

    초록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 1625∼1707)은 자타가 인정하는 퇴계학인(退溪學人)이다. 퇴계 이황의 학문과 사상을 선양하는 데 일생을 바쳤던그는 영남의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과 함께 17세기 퇴계학파를 이끌었던 양대 지도자였다. 방대한 분량의 사칠변증(四七辨證)은 퇴계 성리설의 본지를 해명하고 외부의 비판을 막아내려는 목적에서 저술되었다. 그는 퇴계설을 선양하는 것과 퇴계설에 대한 비판을 막아내는 것은결국 같은 일이라고 인식하였고, 율곡설의 비판이라는 방법을 통해 퇴계설을 옹호하고 선양하려 하였다. 사칠변증은 퇴계의 성리설에 대한 율곡 이이의 비판을 역으로 비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겉으로 드러난비판의 논조에 과격한 면이 있고, 또 율곡의 논리를 잘못 이해한 점도 있다. 그러나 이현일의 율곡 비판에 비해서는 온건한 편일뿐만 아니라, 율곡의 논리 가운데서 취할 만한 것은 과감히 취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퇴계학파와 율곡학파와의 거리를 좁히는 데 기여하였다. 이런 역설적인결과는 조선유학사에서 그 예가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종래 학계에서정시한을 평가했던 것과는 관점을 달리 하여, 정시한의 학설과 율곡 이이의 학설 사이의 간격을 좁혀 보려고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유학의 병폐로 지목되던 당파성(黨派性)에 대한 재고를 겨냥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Udam Jeong Si-han (1625∼1707) was a renowned scholar of the school of Toigye. Along with Galam Yi Hyeon-il, Jeong, who devoted his life to enhancing the legacy and ideas of Toigye Yi Hwang, was one of the two most representative leaders in spearheading the school of Toigye in the 17th century. His Sachilbyeonjeung in enormous volume was designed to explain the main purport of Toigye Confucianism and rebut external criticism.
    In a belief that an effort to promote Toigye Theory was equal to a commitment to defending it from criticism, he attempted to advocate Toigye Theory and give a correct guidance by criticizing Yulgok Theory. Sachilbyeonjeung is a counter-criticism against Yulgok's criticism against Toigye's Confucianism. Jeong was seemingly radical in his arguments, and there were some misunderstandings on Yulgok's thoughts. His assertions, however, were moderate compared with Yi Hyeon-il's criticism against Yulgok, consequently contributing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school of Toigye and that of Yulgok. Such a paradoxical result is rarely found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in evaluating Jeong Si-han, this study tries to close the gap between Jeong Si-han's thoughts and Yulgok's theory, which ultimately aims at amending the malady of partiality in Korean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