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于尸山國의 형성과 변천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Usisangu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1.12
36P 미리보기
于尸山國의 형성과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3호 / 499 ~ 534페이지
    · 저자명 : 최충기

    초록

    본고에서는 ≪三國史記≫ 열전, 거도조에 기록된 우시산국의 위치를 비정하고, 그것의 형성배경과 발전과정 및 주변세력과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우시산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었으나 관련문헌과 고고학 자료로 보았을 때 울산지역으로 비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우시산국은 울산지역의 특징적인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를 수용하면서 더욱 발전한다. 진한의 일국으로서 인근의 사로국에게 위협이 될 정도로 성장한 우시산국의 국읍은 문헌기록상의 于火로서 그 위치는 지금의 울주군 웅촌면과 양산시 웅상읍 일대로 추정된다. 특히 웅촌면 대대리 하대고분군에서는 다수의 대형목곽묘에서 많은 위세품이 출토되어 우시산국 지배집단의 묘역임을 짐작케 한다.
    한편 선진문물을 소유한 유이민집단을 이끌던 탈해는 처음 금관국에 도착하여 수로왕과 세력다툼을 벌이지만 패배해 무리를 이끌고 북상한다. 탈해집단은 수로왕과의 대결과정에서 주변 재지세력인 거도와 연합하였으며, 이러한 거도를 앞세워 북상하는 과정에서 인근의 거칠산국과 우시산국을 공격하고 경주 동남방면 일대에 자리 잡은 후 사로국으로의 진출을 꾀한다. 이후 탈해가 사로국의 왕이 되면서 우시산국은 자연스럽게 사로국의 정치적 영향아래에 놓이게 된다.
    3세기 전반경에는 사로국이 울산지역의 대부분을 영역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시기부터는 우시산국의 국읍인 于火보다는 굴아화촌이 부각된다. 굴아화촌은 본래 우시산국에 속해있던 읍락으로 추정되는데 정치적 이해관계와 지리적 위치 등의 이유로 사로국의 울산지역 지배의 거점으로 중요시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운동유적의 고분군은 이러한 굴아화촌 지배층의 묘역으로 6세기 말까지 신라중앙의 영향을 받은 고분이 꾸준히 축조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ended to define the position of Usisanguk(于尸山國) recorded in Geodo(居道) section in the series of biographies of Samguksagi(三國史記) and examine its background, a process of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owers. About his position of Usisanguk, there have been many opinions, however, when viewing related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data, current Ulsan area is thought to be most relevant.
    Usisanguk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distinctive Bronze culture in Ulsan(蔚山) area, and then it was developed by accepting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iron culture. As a tribe of Jinhan(辰韓), its province of Usisangukguk was grown threateningly against Saroguk(斯盧國) nearby. The position of Uhwa(于火) shown in the literature is considered as the whole area of Ungchon-myeon(熊村面) in Ulju-gun(蔚州郡) and Ungsang-eup(熊上邑) in Yangsan(梁山). Especially, the ancient tombs located in Ungchon-myeon Daedae-ri(熊村面 大垈里) in the late period of Silla are the boundaries of a grave of ruling class where numerous influential antiquities was excavated in the large underground wooden coffin tombs(大形木槨墓).
    On the other hand, Usisanguk was attacked by T'arhae(脫解) moving north toward Ajinpo(阿珍浦) unexpectedly because it had failed to oppose Kim Suro(金首露) of Geumgwanguk(金官國). The group T'arhae led was allianced with Geodo who was the residential power nearby in the process of confronting with Suro and he attacked Geochilsanguk(居漆山國) and Usisanguk through Geodo to advance Saroguk.
    Later, after Saroguk ruled current Ulsan area directly, Gulahwachon(屈阿火寸) was magnified more than Uhwa, the province of Usisangukguk. Gulahwachon is considered a capital belonging to Usisangukguk originally and because of the political interest and geographical position, the governing base of Saroguk about Ulsan area seems to have been important. Especially, the Tumulus of Daundong(茶雲洞) was the boundaries of a grave of ruling class, and at that time the ancient tombs had been constantly founded by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by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