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 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ea Estimation Criteria for Residential Building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3.02
10P 미리보기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 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1호 / 125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영, 이재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용도를 불문하고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은 거주자에게 있어 분양과정에서부터 소유, 사용, 매매, 재건축까지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일률적이고 타당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기준이 명확하지 못해 여러 가지 혼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일관되고 명확한 면적 산정 기준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일괄적으로 적용가능한 적정한 면적 산정 기준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위해 면적산정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와 법제도적 현황을 통해 면적 산정 기준에 있어 문제점과 그 원인을 확인하고, 각각의 원인별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법제도적 측면에서 주거용 건축물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을 살펴보고, 면적산정 기준과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인한 실제 주거 전용면적 등의 증가로 발생되는 공간사용 및 과세의 형평성문제와 면적 기준에 따른 면적 용어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주거용 건축물 면적 산정기준은 법 적용에 상관없이 일원화된 면적 산정기준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법 테두리 내에서 혼선이 없도록 단독주택의 경우도 공동주택의 경우처럼 안목치수 개념의 전용면적과 벽체 공용을 포함하는 주거공용면적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발코니의 경우 모든 주택에서 새롭게 기타전용면적으로 분류하여 전용면적에 포함하고, 확장이 불가한 발코니의 설치기준을 설정하여 발코니의 고유기능을 유지하도록 개선하도록 하여 용도 간 공간사용 및 면적의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법적기준 일원화화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를 통해 면적 용어의 체계도 새롭게 제시하였다. (결론) 현재 주거용 건축물은 다양한용도로 공급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용법이 다르나, 면적 산정 기준을 일원화하고 면적 용어를 정리함으로써 공간사용의 형평성 및 면적 용어에 대한 오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거용 면적 산정 기준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서, 발코니를 포함하여 법제도적 테두리 내에 있는 면적 산정 기준과 관련 용어를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와 그에 따른 설치기준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관련법 정비 방안이 제안되고, 발코니 계획 방향 등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함께 잘 운용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Regardless of purpose, the area of residential buildings should be uniformly and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residents as a very important part that continuously affects them from the sale process to ownership, use, sale, and reconstruc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various confusion as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area of residential buildings have not been clear so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nsistent and clear area calculation standards for residential buildings, establish appropriate area calculation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collectively, and to present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s. (Method) In this study, problems and causes in the area calcula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status,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ach cause were presented.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types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ir concepts were examined, and the criteria for area calcul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 were examined.
    It also identified the issues of space use and taxation equity caused by the increase in actual residential areas due to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not included in the floor area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Results)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the area of residential buildings should introduce a unified area calculation standard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in the current law, detached houses are divided into private areas and public areas including wall sharing, and balconies are newly classified into other exclusive areas in all houses to improve the use of space and area equity. In addition, the system of area terms was newly proposed through the effective areaization of the legal standard monolithic balcony area. (Conclusions) Currently, residential buildings are supplied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application methods vary depending on the use, bu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equity and area terms of space use can be resolved by unifying the area calculation criteria and organizing area term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riv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calculation standards, and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area calculation standards and related terms with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including balcon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However, a careful study on the effective area of the balcony area and its installation standards is needed, so a related law improvement plan is proposed through follow-up studies, and it can help create a more diverse and good residential environment if it works well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balcony planning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