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비어천가>와 전통 생태 담론으로서의 풍수적 사유 (Yongbieocheonga and the Rational Thought of Feng-Shui as a Traditional Ecological Discours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4.10
24P 미리보기
&lt;용비어천가&gt;와 전통 생태 담론으로서의 풍수적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41호 / 9 ~ 32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용비어천가>에 반영되어 있는 풍수 담론을 살펴 본 것이 이 논문의 핵심내용이다. 풍수는 ‘장풍득수’ 즉 ‘바람을 막고 물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땅의 조건’을 압축한 말로서, 인간의 생활환경 생태담론과 연결된다. 인간 삶의 행복 여부는 노력으로 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그가 처한 환경적 요인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자연의 형세나 방위, 流泉의 有無와 형상, 地表 밑 精氣의 優劣, 전체적인 음양 조화의 정도를 관찰하여 가능한 한 많은 好條件을 갖춘 곳을 선택하려는 이론과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고, 그 사상체계가 바로 풍수지리설이다. 주자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세워진 조선조에서 도성을 설계하거나 건물을 짓고 능묘를 조성할 때마다 예외 없이 풍수담론을 활용했다. 풍수담론이 신앙 차원으로 고착된 점은 부정적이었지만, 사회 전반에 원칙과 표준을 확립시킨 점은 긍정적이었다. 『도선비기』에서 찾을 수 있는 예언과 『택리지』의 ‘가거론’ 등을 조선초기의 국도풍수론과 함께 고려할 경우 한양은 인간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생태 공간이었다. 그런 이상적 공간이 국도로 영속되기 위해서 후왕들이 어떤 마음가짐으로 임해야 할 것인가를 조목조목 나열하고 강조한 것이 바로 <용비어천가>의 내용이고, 그 근원은 작자계층의 철학이었다. ‘후왕들이 지켜야 할 敬天勤民의 수칙’은 왕조를 영속시키기 위한 조건이었고, ‘6조의 王者的 자질/좋은 땅을 찾으려는 모색과 안착/후왕들의 근면’은 그것을 구체화시킨 <용비어천가> 핵심내용의 세 축이다. 따라서 <용비어천가>의 핵심 내용은 생태론적 풍수 담론의 실천과정을 압축한 그것이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feng-shui discourse reflected in Yongbieocheonga. Feng-shui theory is related to an ecological discourse about human life environment. Except for the part by human’s efforts, their environment is the first condition to decide whether they are happy or not. So they worked out a way or theory to select good places for their lives through observing the geomantic and bearing of nature, shape and whether it is or not of flowing spring, superiority or inferiority of the place face and its vital force. The system of thought is the theory of feng-shui. The Joseon Dynasty’s government used feng-shui discourse to design castles, build some structures, and make tombs. Although it was negative that feng-shui discourse set in a sort of belief, it was desirable to make the whole society establish its principle and standard. In such a case to take account of the early Joseon Dynasty’s feng-shui theory about Capital, the prophecy in Doseon-bigi, and the Gageoron in Taekriji, Hanyang was a best ecological space for human’s happiness. The codes of conduct that the followed kings have to observe to make the ideal space perpetuate as a capital were the contents of Yongbieocheonga. And the authors’ philosophy was their source. The code of the followed kings for revering Heaven and laboring for people was the precondition to perpetuate their dynasty, and the 6 Grandfathers’ royal property, groping for a good place and setting, diligence of the followed kings were three axes of the key contents of Yongbieocheonga. Therefore, the key contents of Yongbieocheonga was compression of process to practice the ecological feng-shui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