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 제천시 봉양 용바위 신앙의 양상과 특징 (The feature and aspect of the Yongbawi folk religion in Bongyang, Jecheon, Chungbuk provinc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6.12
21P 미리보기
충북 제천시 봉양 용바위 신앙의 양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3호 / 239 ~ 259페이지
    · 저자명 : 최자운

    초록

    로운 공동체의례가 생성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1980년대 초반까지 임신하지 못 하거나 아들을 낳고 싶은 여성들은 용바위 배꼽 부분에 가서 유감주술(類感呪術) 행위를 통해 그들의 바람이 이뤄지길 기원했다. 조선시대 단계(檀溪) 김해일의 처 여주 이 씨가 용바위에 치성을 드려 학고(鶴皐) 김이만을 낳은 역사적 사실은 이러한 행위에 힘을 실어주었다. 아울러, 하지(夏至) 넘어 비가 오지 않아 모를 심을 수 없을 때 연박 2리와 인접한 공전 1리 주민들은 용바위에 와서 부정화(不淨化) 방식의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2015년 2월 용바위는 용신제(龍神祭) 속에서 30여년의 공백을 깨고 의례 대상으로 부활한다. 연박 2리 주민들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방문객이 감소되면서 마을 주민의 화합을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는 용신제를 매년 정초에 거행하게 된다. 기자(祈子) 및 기우(祈雨) 신앙 때 용바위 신격은 자연신이었으나 새로운 공동체의례에서는 인격신으로 변화한다. 이는 그간의 신앙 경험을 통해 용바위가 사람들의 바람을 들어줄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존 당고사에서 인격신을 모시지 않고 있는 것도 용신제 명명(命名)의 호재로 작용했다.
    연박 2리 주민들은 마을 활성화를 위한 1단계로 용신제 개최를, 2단계로 용바위공원 조성 및 민속예술축제 참가를 구상했다. 의례와 유흥이 어우러진 용신제를 지내면서 마을 사람들 간의 결속을 다지는 한편, 용바위의 자연적 가치 및 전래 민속을 활용하여 방문객을 유치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용바위 관련 활동이 가능한 것은 인근 마을에 비해 비교적 젊은 층이 많고, 대동계의 단합력이 좋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paper discuss the meaning of the Yongbawi folk religion in Bongyang, Jecheon, Chungbuk province and hold cause of the new Community ritual. Women who long for pregnancy or give birth to baby boy do a homeopathic magic in Yongbawi. After pray for Yongbawi, Dangye Kimhaeil’s wife the Lee of Yeoju give birth to Hakgo Kimiman. This fact empowered women to wish. In case of Community belief, peoples who live in Gong-jeon 1-ri hold a Ritual for rain which dirty a Yongbawi. These traditions are disappeared because of modern times.
    Yongbawi reappeared as a ritual object in 2015. In order to unite The people of the Yeon-bak 2 ri hold a new Community ceremony. The reason why call new ceremony not The Dragon rock festival but The Sea God festival result from people’s various faith experience. In order to keep a peace and harmony villagers hold a ceremony.
    The main aim of the village god is look after village peoples. So, Peoples wished their guardian not a natural object, but a God. Especially, Because people did not enshrine God in ancestral village ritual is easy to make a new God.
    The Sea God festival in Yeon-bak 2 ri did not start itself. It make a connection with creation of a Yongbawi park and go to the folk festival. Through the activities which connected to Yongbawi peoples want to create a synergy effect. There are many Young people in village. peoples who live in Yeon-bak 2 ri work with perfect unity between native and foreigner. These two facts are the engine of the carry forward a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