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비어천가의 단락과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agraphs and Passages of Yongbieocheong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5.01
32P 미리보기
용비어천가의 단락과 구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28권 / 175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승우

    초록

    본고에서는 시형, 대우, 악곡상의 실연 여부, 악곡상의 분단과 순환, 인물과 사적 등 <용비어천가>의 구성에 관계된 여러 준거들을 분석 및 검토한 후, 이를 종합하여 작품 전체의 구성을 앞부분부터 차례로 살핌으로써 <용비어천가> 내부의 층위가 어떠한 방식으로 분단되고 또한 각 층위들이 어떻게 연결되면서 하나의 장편을 이루게 되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용비어천가>는 서사, 본사, 결사의 삼단 구조를 바탕으로 하면서 본사가 다시 서․본․결로 삼분되는 형태로 정리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용비어천가> 125개 장은 우선 ㉠1~2장, ㉡3~8장, ㉢9~14장, ㉣15~16장, ㉤17~26장, ㉥27~89장, ㉦90~109장, ㉧110~114장, ㉨115~124장, ㉩125장의 총 열 개 부분으로 분단되며, ㉠이 서사, ㉡~㉣이 본사의 서, ㉤~㉦이 본사의 본, ㉧~㉨이 본사의 결, 그리고 ㉩이 결사의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각 장의 차사(次詞)에 다루어진 조종의 사적에 따라 본사의 서와 본에서는 그 안에서 또 다시 일정한 순차가 나타나며, 서의 말미인 제15~16장, 본 가운데 각각 태조와 태종 사적의 마지막 부분인 제86~89장 및 제108~109장에서는 이전과는 다른 형식이나 인물이 제시되면서 앞서 나온 내용을 정리하거나 전환하는 형상을 띤다. 한편, 본사의 결에서는 조종의 순차를 일정 정도는 고려하되, 그보다는 사왕들에게 전달하는 교훈적 내용을 우선시하여 두 층위의 규계를 잇달아 제시한다. 이러한 본사를 서사인 제1~2장과 결사인 제125장이 전후로 감싸면서 작품 전체의 내용을 예고하고 끝맺는 구성을 취하였던 것이다.
    <용비어천가>의 구성이 대단히 번만해서 그 흐름이 쉽게 간취되지 않는다는 평가는 이미 조선전기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제출되어 왔다. 조종을 칭송하면서 동시에 사왕을 향한 경계를 드러내고, 조선의 건국사를 다루되 중국사와의 연계를 현시하려는가 하면, 가창 텍스트이지만 문학적으로도 완정한 형식을 갖추어 작품을 제진하려던 여러 복합적인 지향이 엇걸리면서 이처럼 다단한 작품이 산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용비어천가>에서는 그러한 중층적 의도를 한 작품 안에 모두 담아내어야 하고 또한 담아낼 수 있다는 제작자들의 의지 내지 자신감이 묻어나기도 한다. 다종의 요소들을 어떻게든 균형감 있게 배치해 보려는 모색이 여러 부면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때로 그러한 시도가 과히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회의적으로 평가할 여지도 있겠으나, 그처럼 불완전한 결과물을 통해서라도 이 작품을 짓는 데 간여된 본래적 지향들을 되짚어 보아야 할 필요성은 다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 이루어진 검토는 일차적으로는 <용비어천가>의 구성과 층위를 구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작품의 제작 목적을 가늠하는 데에도 긴요하게 소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the whole structure of Yongbieocheonga by analysing the forms of verses, the aspects of antithesis, the execution of the musical composition, the cycles and divisions of the piece of music, the characters, and the historic events quoted in each verse.
    Yongbieocheonga is divided into three parts containing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in which the main subject can be spilt again into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That is, the one hundred twenty five verses of Yongbieocheonga has ten paragraphs following ⓐ1st-2nd verses, ⓑ3rd-8th verses, ⓒ9th-14th verses, ⓓ15th-16th verses, ⓔ17th-26th verses, ⓕ27th-89th verses, ⓖ90th-109th verses, ⓗ110th-114th verses, ⓘ115th-124th verses, and ⓙ125th verse. In these ten paragraphs, ⓐ corresponds the introduction while ⓑ-ⓘ are the main subject, and ⓙ is the conclusion. Among ⓑ-ⓘ, each of ⓑ-ⓓ, ⓔ-ⓖ, and ⓗ-ⓘ in order is applicable to the introduction, main subject, and conclusion of the main subject of the whole work. Especially, the two parts of ⓑ-ⓓ and ⓔ-ⓖ are described in regular sequence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kings while 15th-16th, 86th-89th, and 108th-109th verses summarize or convert the preceeding contents by presenting different verse forms or characters. Meanwhile, paragraph ⓘ cautions descending kings against being idle or cruel in two stages.
    Many people have remarked from the fifteenth century downward that the structure of Yongbieocheonga is too complicated to be comprehended. In fact, the writers of the work had complex intentions of praising the forefathers of the dynasty and warning descendant kings at the same time, of describing the founding chronicles of Joseon dynasty comparing with Chinese history, and of writing exemplary odes even equivalent to classical poems. Nonetheless, the writers must have been confident that they could fully accomplish their purposes. Actually, they managed to compose such a complete work as Yongbieocheonga after due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