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정희 시대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 (Localization of Milk Powder for Babies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9
41P 미리보기
박정희 시대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6호 / 447 ~ 487페이지
    · 저자명 : 이은희

    초록

    본 연구는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가 정부, 생산자, 소비자 세 경제주체의 상호작용 속에서 진행되었음을 밝혔다. 정부는 낙농진흥으로 분유의 수입대체화와 농업근대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했다. 분유공장의 입지와 주체는 당시 낙농현실과 낙농진흥의 지향이 반영된 결과였다. 낙농현실은 일제강점기 이래 수도권에 집중된 착유업이었다. 이와 달리 낙농을 농촌문제해결 방략이라고 믿었던 지식인과 축산기술관료는 한편으로 서울유협을 지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비수도권 농촌에 분유공장을 세우게 했다. 수도권의 서울분유와 비수도권 충청도의 남양분유는 이렇게 탄생했다.
    육아용 분유시장을 둘러싸고 기존업자인 외제조제분유 수입업자 및 소분업자가 신규업자인 국산조제분유와 갈등했다. 소분업자는 유동적인 국산화 개념을 이용해 소분분유가 마치 조제분유와 동일한 품질처럼 홍보했다. 정부도 이에 동조해 소분분유를 합법화하여 국산분유로 취급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정부의 낙농진흥이 본격화되면서 낙농진흥법과 같은 제도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낙농진흥의 명분인 농업근대화와는 달리 낙농의 수도권집중화가 더욱 진행되었다. 소분업체에서 국산조제분유로 전업한 대한식품도 비만분유(조제)를 제조하게 되었다. 젖소도입의 지체로 원유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국산조제분유 세 업체가 원유쟁탈전을 벌였다.
    소비자는 처음에는 국산조제분유의 품질을 믿지 않고 소분분유가 국산조제분유보다 우위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가짜분유 파동과 대장균 파동을 거치며 유제품이 생명안전을 위협한다는 것을 깨닫고 소비기피로 대응했다. 소비자가 이렇게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낙농업을 이끄는 힘으로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다.
    정부는 소비자의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낙농생산과 유가공 전반이 무너지게 됨을 알게 되었다. 정부는 소비자 요구에 대응해 국산화 개념을 조정하고, 우유위생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구호분유 중단으로 소분분유가 완전히 사라졌다. 소분분유의 완전 퇴출은 바야흐로 한국의 분유시장이 국내 낙농업에 기반하게 되었고, 국산분유개념이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ocalization of milk powder for childcare wa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three economic actors: the government, producers, and consumers. The government tried to catch two rabbits: the import of milk powder substitutes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agriculture by promoting dairy farming.
    In the childcare milk powder market, foreign milk powder importers and businessmen of the powdered milk(sub-milk) subdivision, which involved existing companies, were in conflict with domestic milk powder, which was delivered by new companies. Using the concept of fluid localization, sub-milk was promoted as if it were of the same quality as formula powder.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legalized sub-milk and treated it as domestic milk powder.
    At first, consumers did not believe in the quality of domestic formula and thought that sub-milk was superior to it. However, their consumption decreased after realizing that dairy products threaten life safety through fake milk powder and E. coli milk waves. The government began to adjust the concept of localization in response to consumer needs and to manage milk hygiene. As a result, sub-milk completely disappeared due to the suspension of relief milk powder. The complete withdrawal of sub-milk means that the Korean formula market became based on the domestic dairy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