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디자인 연구의 피인용 패턴 분석 (Analyzing Citation Patterns of Korean ‘Design’ Researc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5
15P 미리보기
국내 디자인 연구의 피인용 패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4권 / 2호 / 205 ~ 219페이지
    · 저자명 : 이다니엘

    초록

    연구배경 연구배경 산업계와 학계 모두에서 중요도가 점점 올라가는 ‘디자인학’ 이지만, 현재 국내 ‘디자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려는 사전 연구들은 특정 세부 연구 주제에 한정되어 있거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에는 소규모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되, 주로 연구 영향력을 나타내는 피인용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자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KCI에 등재됨으로써 그 학문적 영향력을 인정받은 13개의 학술지에 출간된 10,78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Bibliometric Analysis)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학술지와 논문의 피인용 패턴을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디자인’ 분야의 피인용 반감기는 2018년을 기준으로 5.1년이고 그에 따라 인용 기간(citation window)을 정한 후 인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13개 분석 대상 학술지 중 연평균 피인용 비율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디지털디자인학연구’ ‘디자인학연구’ 순으로 그 비율이 높았고 학술지당 출간 논문 수와 피인용 비율은 약 70%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출간된 후 5년간 전혀 피인용되지 않은 논문이 37%, 5번 이하 혹은 10번 이상 피인용된 논문은 전체 연구 대상 논문의 각각 57%와 2%였다. 국내 ‘디자인’ 연구 중 많이 피인용된 논문 Top 30을 살펴 본 결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 및 창의 교육, 인포그래픽스, 브랜드 혹은 브랜딩 관련 연구가 참고문헌으로 많이 피인용되었다.




    결론 약 일만 편이 넘는 대규모의 국내 ‘디자인’ 연구를 대상으로 출간된 논문 수뿐만 아니라 학문적 영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피인용 패턴을 연구하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이 본 논문의 의의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Design is increasingly gaining importance in industry and academia. Yet few studies exist that have analyzed the bibliometric trend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design research. Moreover, related studies on the overall research trends are too old or use a small sample size to accurately reflect the current trend of Korean design research. This study aims to fill the gap by analyzing the overall trend of Korean design research,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mpact (i.e., citation counts).


    Methods The present study selected 10,786 target articles published across 13 journals. The 13 journals have been qualified and accredited by the Korean Citation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mpact. To derive diverse citation patterns, this study applied various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to the target articles.


    Results Specific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cited half-life of Korean design research is 5.1 years as of 2018, and according to the half-life, it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citation accounts of each journal and each article. The journals yielding the highest citing ratio we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Journal of Digital Design,’ and ‘Archives of Design Research.’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and the citation ratio for each journal. The list of top 30 most cited articles showed that articles about social networking service, design education, info-graphics, and brand or branding were the most impactful topics.


    Conclusion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endeavor to show meaningful citation patterns and to explain the overall research impact of Korean design research on a large sca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