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욥의 모반과 신정론의 문제: 에른스트 블로흐의 「욥기」 해석 (Hiobs Rebellion und das Problem der Theodizee: Ernst Blochs Hiob-Interpret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욥의 모반과 신정론의 문제: 에른스트 블로흐의 「욥기」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99호 / 39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진

    초록

    블로흐는 그리스도교 신학에 대한 전복적 해석학에 근거하여 「욥기」를 해석하고자 했다. 블로흐는 욥을 모세에 따르면서도 모세에 반대하는 인물로 이해한다. 우선 블로흐는 욥을 ‘이집트로부터의 탈출’이라는 모세의 정신을 따르는 모세의 계승자로 인정한다. 그러나 모세의 탈출은 탈출 그 자체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블로흐는 이제 욥을 모세의 적대자로 규정한다. 블로흐가 보기에 욥은 모반자이고, 따라서 그를 ‘히브리의 프로메테우스’라고 규정한다. 욥의 탈출은 ‘이집트로부터의 탈출’을 넘어서서 ‘야훼 그 자신으로부터의 탈출’로 향한다. 욥에게 야훼 하느님은 이제 더 이상 그가 바라는 ‘정의의 이상’이 아닌 것이다. 이로써 욥의 탈출은 급진적으로 된다. 이처럼 블로흐의 희망철학은 한편으로는 옛날의 신에 대한 표상을 부정하고, 다른 한편으로 유대-그리스도적 메시아 전통을 매개하려는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야훼 하느님에 대한 욥의 불신앙은 앞으로 출현하게 될 메시아로서의 ‘피의 보복자’에 대한 신앙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미래에 대한 욥의 희망은 메시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블로흐는 이 메시아가 야훼 하느님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라고 해석한다. 이처럼 블로흐는 야훼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를 대적하는 관계에서 파악함으로써 삼위일체 신학에 반대한다. 야훼 하느님에 대한 낡은 신앙이 야훼 하느님이 없는 그리스도 예수와 더불어 사는 인간 왕국에 대한 새로운 신앙으로 대체되는 가운데서, “신앙은 그 유일한 의미에서 하느님이 없는 하느님의 메시아적인 왕국에 대한 신앙이다”(PH,1413) 라는 블로흐의 종교철학적 테제가 확정된다.

    영어초록

    Bloch versucht die Schrift Hiob auf dem Basis seiner subversiven Hermeneutik zur christlichen Theologie zu interpretieren. Für Bloch ist Hiob Moses im Contra-Moses. Bloch akzeptiert zuerst Hiob als einen Nachfolger des Moses, der also Moses Geist, ‘Exodus aus Ägypten’ übernommen hattte. Moses Auszug aber ist nicht einer aus dem Auszug selbst. Bloch versteht nun Hiob im Contra-Moses. Er sieht ihn als einen Rebell, und bezeichnet ihn als den ‘hebräischen Prometheus.’ Der Exodus ist bei Hiob nicht nur ein Exodus aus Ägypten, sondern ein Exodus aus Jahwe selbst. Der Gott Jahwe ist, so nach Bloch, für Hiob nicht mehr ‘ein Ideal seiner Gerechtigkeit’. Der Exodus wird bei Hiob daher radikal. Blochs Hoffnungsphilosophie chatakterisert sich in zweiartiger Weise: im Bruch mit der alten Gottesvorstellung einerseits, und in der Vermittlung mit jüdisch-christlicher Messias-Tradition andererseits. Hiobs Unglauben an die Gerechtigkeit Jachwes soll nun sein Glaube an den Bluträcher, also kommenden Christus transformiert werden. Hiobs Hoffnung auf die Zukunft ist, so Bloch, messianisch. Bloch nimmt diesen Messias nicht als Jachwe an, sondern als Jesus Christ. Er sieht Christus als Gegenvorstellung Jachwes, und damit charakterisiert sich seine Gottesvorstellung anti-trinitarisch. Indem der alte Glaube an dem Jachwe in neuen Glauben an dem Reich Jesus Christi transformiert werde, könne der Reich des Menschen ohne Jachwe kommen werden. Blochs These kann daher wie folgende festgestellt werden: “Glaube ist einzig der an ein messianisches Reich Gottes-ohne Gott.”(PH,141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