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言外之意’의 관점에서 해석한 맹자와 순자의 ‘欲’개념 (Re-evaluating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Works of Meng-zi and Xun-zi: An Analysis of Expressed and Unexpressed Meaning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4
34P 미리보기
‘言外之意’의 관점에서 해석한 맹자와 순자의 ‘欲’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7호 / 59 ~ 92페이지
    · 저자명 : 조희정

    초록

    유학사에서 통상적으로 맹자와 순자는 서로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되는데, 최근 중국의 학자들은 이들의 대립적 관계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路德斌은 ‘名’은 하나의 정의된 개념으로 그것에 앞서 실재[實]가 있다는 관점에서 맹자의 성선과 순자의 성악은 각각 다른 실재를 보고 정의된 명제라고 파악하였다. 그러므로 맹자와 순자는 서로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서로 보완되어야 할 관계라고 주장한다. 沈順福은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이 언어로 직접 드러나는 “題中之義”이며, 맹자에게 성악의 요소와 순자에게 성선의 요소는 언어 속에 함의된 “言外之意”로 각기 존재한다고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노덕빈의 名實의 관계와 심순복의 “題中之義”와 “言外之意”라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맹자와 순자의 欲에 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최근 중국학자들은 欲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공존하는 中性詞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에 송명이학의 “存天理去人欲”적 체계와는 구별된다. 『맹자』와 『순자』에 언급되는 欲에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그 동안 欲이 가진 부정적 측면만 부각되어 欲은 제거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맹자와 순자의 “題中之義”는 欲이 가진 부정적 측면이다. 그러나 맹자와 순자의 사상체계에서 欲은 생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오롯이 악으로 규정되지 않는다. 또한 欲을 통한 도덕적 실천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맹자와 순자의 “言外之意”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맹자』와 『순자』에게 함의된 欲의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을 모두 이해한다면 맹자와 순자가 각각 말한 “思”와 “思慮”의 본의를 파악하고 중국 전통교육의 “氣質感化”가 어떻게 긍정적인 欲을 흥기시키는지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In the world of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Meng-zi and Xun-zi have long been considered polar opposites. However, contemporary Chinese scholars have begun to question this dichotomy, urging a more nuanced and comparative approach. As Ludebin contends, the meaning of a word is not fixed and can vary depending on its usage and context, allowing it to refer to slightly different realities. The term "xing" (性) serves as a prime example, as both Meng-zi and Xun-zi employ it to refer to human nature and morality, but each infuses it with their own unique connotations and shades of meaning.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desire" (欲) in the works of Meng-zi and Xun-zi, using the insights of scholars like Ludebin (路德斌) and Shenshunfu (沈順福). Shenshunfu's terms "expressed" (題中之義) and "unexpressed" (言外之意) help us understand desire. Even though Meng-zi and Xun-zi did not directly discuss desire, we can uncover their implicit meanings by analyzing both the explicit statements and underlying assumptions in their work.
    Recent scholarship has called into question the traditional notion that desires must be suppressed in order to cultivate a virtuous heart. Rather,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desires can be a force for good, motivating individuals to pursue noble goals and engage in positive behaviors. While Meng-zi and Xun-zi both acknowledged the negative aspects of desires and the need to eliminate them in certain contexts, they also recognized that desires could be a positive force in other circumstances.
    By exploring the complexities and nuances of the concept of desire in Meng-zi and Xun-zi's philosophy,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dynamic and evolving nature of this fundamental concept in Chinese thought. It also sheds light on the broader theme of character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in traditional Chinese society, demonstrating how the cultivation of discretion and the harnessing of positive desires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moral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