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래픽 요소로서 TV만화영화 캐릭터를 활용한 제품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용 문구 제품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ducts Designing to Applying TV Animated Movie haracters as a Graphic Element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8.12
14P 미리보기
그래픽 요소로서 TV만화영화 캐릭터를 활용한 제품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용 문구 제품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6권 / 2호 / 37 ~ 50페이지
    · 저자명 : 용진경

    초록

    요즈음 초등학생들은 일정한 용돈을 부모에게 받는 경우가 많다. 이것으로 학교 앞 문구점에서 학용품이나 음료수, 과자 등을 스스로 구매하게 된다. 이 가운데 문구제품을 구매하려는 초등학생들은 제품에 디자인된 만화에서 등장된 캐릭터는 중요한 구매요인이 된다. 나아가 만화 속 주인공 또는 제품의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캐릭터는 하나의 산업으로 크고 있으며 제품으로서 캐릭터가 브랜드화 되면서 ‘황금산업’이라 불릴 만큼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상품으로 성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문구제품 가운데 필통 제품에 나타난 캐릭터가 구매자와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특히 TV만화영화캐릭터가 제품의 그래픽요소로서 미치는 영향과 칼라의 특징에 대한 관계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 제품의 전반적인 디자인보다 TV만화영화캐릭터가 크게 구매요인으로 작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캐릭터와는 무관하게 제품의 형태디자인과 품질 때문에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브랜드와 제조회사, 제품의 가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설로 설문조사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이 제품을 구매할 때는 전반적인 제품의 디자인보다 TV만화영화캐릭터가 그래픽요소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제품을 선택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특히 초등학생에게 선물을 해주는 성인 및 학부모 또한 어린들이 원하는 TV만화영화캐릭터가 그래픽요소로 활용된 제품을 선호하였다. 또한 동년배 집단은 어린이들에게 동조성을 유발해서 소비를 유도하고 특정 브랜드의 제품을 소유하는 여부가 집단과 어울리게 하거나 또는 하지 못하게 하는 동조성을 유발시켜 소비를 조장하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성인, 학부모 그리고 초등학생 모두 제조자 브랜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어 품질력에 대해서는 변별력이 미약하거나 관심이 적은 것으로 예측된다. 종합적으로는 어린이들은 TV만화영화캐릭터를 그래픽요소로 들어간 제품을 선호하지만, 제품 형태 및 전체적 색상도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충분치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추후 광범위한 조사와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된다면 효율적인 캐릭터 활용 문구 디자인 방안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t is common for grade schoolers to receive allowances from their parents. They end up purchasing stationery, beverages and snacks from the nearby stationery store with their allowances. The cartoon character designs that appear on the stationery have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purchasing decisions. Furthermore, using the cartoon characters or the characters designed specifically for certain products is a growing trend in the industry and they are becoming an important product in this information age as they are being branded as products and even called as 'golden industry.'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s that appear on the pencil cases for grade schoolers and their purchase decisions. Especially, i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TV cartoon characters have as graphic elements and their respective col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V cartoon characters played more significant role than the overall design as a purchasing factor followed by the product shape design and quality that are not related to the characters. Other factors included brand, manufacturer, price, etc. The result from a survey and a verification analysis substantiated the supposition that grade schoolers purchase stationery not because of the overall product design but because of the TV cartoon characters used as graphic elements in the products. Especially, even the adults or the parents who purchase stationery for grade schoolers prefer the products that use the popular TV cartoon characters. Additionally, peer groups put pressure on children to assimilate by purchasing same products, and whether having the same products or not to fit in with others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it is speculated that the adults, parent and grade schoolers have little interest in or weak judgement on the product quality as they all consider manufacturer brand as something not too important. Overall, it's been found that children do care about the product shape or overall color and they prefer products that uses TV cartoon characters as graphic elem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It can be expected that plans for effective stationery design using characters can be presented with further comprehensive and in-dep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