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여성작가가 그리는 성애(性愛) -다무라 도시코와 우노 지요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Eros Drawn by the Modern Female Novelist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Chiyo Uno” and “Toshiko Tamur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05
18P 미리보기
근대 여성작가가 그리는 성애(性愛) -다무라 도시코와 우노 지요의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36호 / 133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상복

    초록

    본고에서는 여성의 입장에서 남녀 성애(性愛)를 자유롭게 표현하며 전개시켜 나가는 작가 다무라 도시코와 우노 지요의 작품세계와 각자의 대표작인 『생혈』과 『색참회』의 여주인공들을 통하여 작가가 투영시키고 있는 내면적 자기인식도 함께 고찰하였다.
    이 두 작가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할 당시 일본의 사회상은 근대적인 성(性)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봉건적인 사상과 분위기가 농후하여, 여성에게는 정절과 헌신을 강요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다무라 도시코와 우노 지요는 여성의 성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관습에 따른 연애나 결혼, 가족제도로 부터의 탈출 시도를 작품 테마로 설정하여 여성의 내면적 고민을 숨김없이 대담하고 표현하였다.
    『생혈』과 『색참회』은 자유와 자율을 추구하는 여주인공의 자의식과 성애(性愛)를 둘러 싼 모순과 갈등을 관능미와 함께 독자적인 문체로 묘사한 공통점이 있다.
    한편, 『생혈』에서는 혼전 순결이데올로기 및 정조관념, 즉 봉건적인 의식으로부터 탈주하지 못하여 심리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여성의 한계성과 희생을 강요하는 결혼생활을 비판하고 있다. 이에 비해 『색참회』에서는 사랑도 여성이, 이별도 여성이 주체가 되어 표현한다. 이 두 작품은 성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바뀐 오늘날에도 여전히 현재적 의미를 지닌 작품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works of Toshiko Tamura and Chiyo Uno who freely expressed their erotic love from the stand point of women. It also looks at the internal self-recognitions, which projected themselves into the heroines of their masterpieces, Namachi as well as Irozange.
    As the authors produced actively, the society of Japan had an atmospheres of the feudal system, which required women to be faithful and devoted to their husbands, even though the modern sexual culture had been gradually adopted. In such society, both Toshiko Tamura and Chiyo Uno fearlessly expressed their internal distresses not to be free from the custom through choosing love affairs, marriage and the family system as their theme of the novels.
    Thre is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both Namachi and Irozange were described by a uniquely erotic and commemorating language, which contained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heroines, who seek freedom and autonomy as well as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surrounding the erotic love.
    However, Namachi criticized the marriage live, which forced women to sacrifice and the limitation of the women who enable to be free psychologically. It means that they could not escape from the feudal mind and the ideology of chastity before marriage.
    On the other hand, Irozange expressed the love and separation in the women-centered context.
    It can be said that those novels hold the present meaning because the issue is still available even the sexual recognition has been rather changed the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