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luxury space as a marketing element of luxury furniture brand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177 ~ 188페이지
    · 저자명 : 양송이,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여러 번의 산업혁명과 소비문화의 변화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뉴스에 따르면 covid-19의 영향으로 많은 시장이 위기에 놓여 있지만 오히려 럭셔리 비즈니스 시장은 더 큰 성장세에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홈 인테리어 시장은 언택트, 스테이 홈, 업무공간으로의 집 등 새로운 트랜드로서 성장세에 있으며 공간의 표현 방식과 앞으로의 방향을 고려해보았을 때 대중적인 홈 인테리어의 고급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실내공간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가구는 각 브랜드들이 마케팅을 위한 공간연출을 함에 있어 각 브랜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을 각각의 웹페이지의 광고와 브로슈어 등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의 마케팅 요소로서 럭셔리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럭셔리 공간을 위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럭셔리의 개념과 럭셔리 가구브랜드의 특성 및 지표를 도출한다. 또한 럭셔리 브랜드 가구 마케팅 요소와 럭셔리 공간 및 연출 요소를 통하여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의 지표를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럭셔리 공간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모형으로 분석의 대상은 럭셔리 가구 브랜드는 가구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거론되는 가구로서 현재도 럭셔리 가구에서 잘 알려진 브랜드로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의 내용은 브랜드와 이미지,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 럭셔리 가구 브랜드 특성, 온오프라인의 마케팅 표현과 공간 및 연출요소를 5점 척도로 분석한다. (결과) 공간에서의 럭셔리 특성은 4곳 모두 공통적으로 고급성, 치유성, 조형성, 색채성, 정교성이 충족이 되며 또한 3곳은 과시성, 사치성, 역사성, 희소성을 충족시킨다. 럭셔리 가구 브랜드의 특성으로는 2개의 브랜드가 모든 사항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마케팅 표현에 있어서는 4곳의 브랜드가 온라인으로 웹페이지와 카달로그를 제공하고 있다. 공간 대부분 공간과 가구의 색채는 조화를 이룬다. (결론) 럭셔리 가구 브랜드들은 자부심과 함께 역사와 예술, 절묘한 컬러와 마케팅 공간 배치로 럭셔리한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유명한 건축가와 디자이너와의 파트너십과 마케팅 공간을 통하여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역사적이며 예술적인 장소에 가구를 배치함으로 역사성과 고급성을 갖춘 가구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컬러 분석으로는 각 브랜드가 모두 다른 분석 차트를 보이는데 공통점은 각각의 공간과 가구가 비슷한 명도와 채도를 갖고 있어 잔잔하며 고급스러운 느낌 또는 강렬하고 화려한 느낌을 준다. 각 브랜드는 개성 있는 색채감과 공간감으로 럭셔리의 요소를 갖추어 브랜드 가치를 올리고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luxury business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several industrial revolutions and changes in consumer culture. However, according to recent news, many markets are in crisi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ough the luxury business market is still growing. Among them, the home interior market is growing due to new trends such as untact, stay at home, and home to workspace. Considering the way these interior spaces are expressed and the future direction, popular luxurious home interiors can be expected. Therefore, furniture,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space design, presents a space through advertisements and catalogs on each webpage where each brand can increase its value in producing space for marketing. Especially, Italian furniture brands, which can be called luxury furniture brands, are increasing their brand value by connecting their furniture with the country's na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in the background. As a marketing element of luxury furniture brands, we inte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for the future luxury space through research on its creation. (Method) This thesis derives the concept of luxur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luxury furniture brand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indices of luxury space for marketing through luxury brand furniture marketing elements, luxury spaces, and directing elements. As an evaluation index model for analyzing luxury space for brand marketing, the analysis targets luxury furniture brands as households discussed in prior research on furniture and are still well-known brands in luxury furniture. It analyzes the brand and image,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luxury furniture brand characteristics, online and offline marketing expressions, and space and direction elements. (Result) Luxury characteristics in space are common in all four places, satisfying luxury, healing, formulation, color, and sophistication, and three also meet ostentation, luxury, historical and scarcity. As a characteristic of luxury furniture brands, two brands satisfy every criterion, and four brands provide web pages and online catalogs in marketing representations. The colors of most spaces and furniture harmonize. (Conclusions) Luxury furniture brands create a luxurious space with pride, history, art, exquisite colors and marketing space arrangements. In addition, the brand value is raised through partnerships and marketing spaces with renowned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by spatially arranging furniture in historical and artistic places, it intuitively recognizes that the furniture has historicity and luxury. In color analysis, each brand shows a different analysis chart; however, each space and furniture have similar brightness and saturation, radiating a calm and luxurious feeling or an intense and colorful feeling. Each brand is raising the brand value by having a luxury element with a distinctive color an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