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지마 가즈요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jima Kazuyo Architectur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12
16P 미리보기
세지마 가즈요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721 ~ 736페이지
    · 저자명 : 박세현, 윤성호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의 다원화에 따라 다핵구조의 형식을 갖지만 독립되지 않고 상호보완적 관계를 갖는 유기적 건축 방식은 연속된 흐름을 확보하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지마 가즈요의 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유기적 건축의 근본적 개념이 현대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앞으로 현대사회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효과적인 공간구성을 이룰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기성의 명확한 개념을 확립하고자 유기성 및 유기적 건축의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이론적 개념을 자세히 분석하고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세지마 가즈요 건축의 공간구성 방식을 다루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구조적 특성과 유기적 건축의 개념 및 특성과의 관계 요소를 추출함으로써 세지마 가즈요 공간에 유기적 특성이 표현된 공간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사례에 적용하여 세지마 가즈요 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사례분석의 범위는 최근 20년간 세지마가 참여한 작품 중 유기적 특성이 잘 구현되어있는 건축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분석에서 나타난 세지마 가즈요 공간의 유기적 특성은 공간의 유연성, 생성적 관계성, 구조적 가변성의 세 분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세부 속성이 나타내는 효과를 통해 공간구성 방식이 갖는 유기성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었다. 공간의 유연성은 확정적 사고를 배제하고 다양한 기능 및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그 효과를 드러낸다. 이는 사용자의 사고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공간에서의 사유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생성적 관계성은 다양한 요소와의 결합을 통한 관계 형성을 의미하며 세지마 가즈요 공간에서는 내외부가 교차하여 상호 작용하고자 하는 구조로 나타난다. 또한 구조적 가변성은 어떠한 조건 아래 변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하며 건축을 성장 가능한 유기성을 가진 구조체로 바라보는 특성을 갖는다. (결론) 현대에는 건축의 부분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전체로 인식되게 하는 유기적 건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세지마 가즈요 공간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의 부분들을 통합체로 인식하게 하는 유기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현대의 무한한 공간의 창출에 적용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With spatial pluralization, architecture takes the form of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A non-independent, complementary, and organic architectural pattern is used as a concrete and practical means to secure continuous flow.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the Sejima Kazuyo space by analyzing its organic characteristics to identify how the fundamental concepts of organic architecture are adequately applied in contemporary society, which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spatial structure.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concepts and presented keyword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organisms and organic archite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Sejima spac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how to deal with Sejima’s spatial structure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eatures, and concepts of organic architecture. The analytical results objectively verified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Sejima space based on relevant cases. The scope of the case analysis covered architectural works with the starkest organic characteristics that Sejima performed over a 20-year period. (Results)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Sejima space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namely, spatial flexibility, generative relations, and structural variability—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above. Organisms with spatial structure patterns can be understood and applied based on the effects of their detailed attributes. Spatial flexibility eliminates stereotypical thinking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experiences to prove its effectiveness. This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in which thinking within different spaces formed by a user’s thinking is applied and reflected. A generative relationship is one established through associations with multiple elements. This is embodied in an interactive structure of interconnected internal and external Sejima spaces. Structural variability refers to the tendency of a material to change under certain conditions. One of its characteristics is that it views architecture as an evolving organic structure. (Conclusions) In the contemporary age, there has been a gradually growing demand for organic architecture to integrate each element of multiple architectural parts into a single one and consider it as a whole. Considering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Sejima spac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organic characteristics that involve the integration of spatial parts and applying them to indefinite space in the contemporary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