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 음성지역 <장례의식요>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 (Transmission Aspect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in Eumseong, Chungcheongbuk-d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4
36P 미리보기
충북 음성지역 &lt;장례의식요&gt;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4권 / 1호 / 219 ~ 254페이지
    · 저자명 : 조순현

    초록

    본 연구는 충북 음성지역 <장례의식요>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필자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2개 읍(음성읍․금왕읍)과 7개 면(감곡면․삼성면․대소면․맹동면․원남면․소이면․생극면)에서 전승하고 있는 민요를 고루 조사하고 책자로 음향자료와 악보를 채록하여 발표한 바 있다. 이 발표된 자료 중 <장례의식요> 42곡을 대상으로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성을 분석했다.
    충북 음성지역 <장례의식요>는 <대도듬소리>, <상여소리>, <달구질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기고 받는소리로 부르고 있다. 받는소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장단은 <대도듬소리>와 <상여소리>는 3소박 4박자의 느린 중중모리장단에 가깝게 규칙적으로 부르고 <달구질소리>는 좀 빠른 3소박 4박자로 자진모리장단에 가깝게 규칙적으로 부르고 있다. 구성음은 주로 4음구성<미, 솔, 라, 도>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성은 2음구성, 3음구성, 4음구성, 5음구성(미, 솔, 라, 도′레′)이 있는데, 주로 4음구성(미, 솔, 라, 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종지음은 주로 <미>음과 <라>음으로 나타났다. 음역은 장 3도<도-미>, 완전 4도<미-라>, <라-레>, 완전 5도<라-미>, 단 6도<미-도'>, 단 7도<미-레'>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로 <상여소리>보다 <달구질소리>가 좁은 음역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살폈다. 종지선율은 <미>음으로 시작해서 산형을 이루며 <미>음으로 종지하는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시김새는 <레>음에서 <도>음으로 끌어내리는 음, <라>음에서 <솔>음을 경과하고 <미>음으로 끌어내리는 음의 유형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메나리토리임을 알 수 있다.
    전통사회의 공동체생활 속에서 전통을 이어가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의해 장례문화와 함께 불려지던 <장례의식요>가 장례문화의 변화와 요령잡이들의 고령화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사라져가는 장례문화와 장례의식요를 보존․전승하기 위해서 향토자료지정 및 자료관 건립 등의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patterns of 41 funeral songs in Eumseong, Chungcheongbuk-do, included in 『Sound of Eumseong』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uneral song> in Eumseong, Chungcheongbuk-do is divided into <Daedodeumsori>, <Sangyeosori>, and <Dalgujilsori> and has passed down. Due to the change in funeral culture, Daedodeum that one shouldered an empty bier and visited his relatives and descendants’ houses on the night before the funeral, disappeared a long time ago, and <Daedodeumsori> is not sung any more. For crematories, <Sangyeosori> is disappearing, but <Dalgujilsori> is sung occasionally as ashes are buried.
    As for the rhythm, <Daedoreumsori> and <Sangyeosori> are mostly sung in slow 3 sobak 4 beats, which is close to the slow Jungjungmori rhythm, and <Dalgujilsori> is sung regularly in 3 sobak 4 beats, which is closer to Jajinmori rhythm. The singing method is a ‘lead-and-take type’ in which a man with a bell leads a song and the coffin bearers receive it.
    The beat composition is mainly in 3 simple 4 beats and 2 beats, and when you lead a song, the sound you get is regular in 3 simple 4 beats and 2 beats. <Dalgujilsori> mainly consists of 3 simple 4 beats and 1 beat. Focusing on the received sound, among two-tone, three-tone, four-tone, and five-tone configurations (mi, sol, la, do 're'), the four-tone configuration(mi. sol, ra, do') was the most common, and the final sounds tended to be <mi> and <ra>. There are five types of ranges: a major 3rd <do-mi>, a perfect 4th <mi-ra>, <ra-re>, a perfect 5th <ra-mi>, a minor 6th <mi-do'>, and a minor 7th <mi-re'>. It suggested that <Dalgujilsori> appeared in a narrower range than <Sangyeosori>.
    The ending melodies that start with the <mi> note and end with the <mi> note forming a mountain shape are often seen. Sigimsae features the type of note that descends from <Re> to <Do>, and passes from <Ra> to <Sol> and descends to <Mi>.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Funeral songs> in the Eumseong region of Chungcheongbuk-do is a Menaritori with <Mi, Ra, Do'> as the central tone. Also, in Eumseong, North Chungcheong Province, 24 people who used to ring a bell in traditional huts where a bier was kept and traditional societies were surveyed.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Funeral Songs> in the Eumseong region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makes suggestions on how to transmit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