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태조의 訓要 8조에 대한 재검토 (A Reconsideration on Goryeo Taejo’sEighth Injun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고려 태조의 訓要 8조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52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병인, 김도영

    초록

    고려 태조의 훈요 8조에는 관직 등용불가의 대상으로 ‘車峴以南 公州江外 州郡人’과 ‘官寺奴婢와 津驛雜尺에 속한 자들’이 함께 지목되어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전자의 해석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이 태조대의 판단인가, 후대의 정서인가 하는 문제로 단순화 시켜 그 진위 여부를 밝히려는 데에 집중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자뿐만 아니라 후자에 관한 논의도 함께 다루어 그 변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훈요 8조 후반부의 내용, 즉 官寺奴婢와 津驛雜尺의 賤類들이 벼슬하게 될 경우 국가에 변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점을 경계한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훈요 8조 전반부의 ‘차현이남 공주강외 지세배역론’과 달리 태조의 정치적 방침으로 이해하였다. 官寺奴婢와 津驛雜尺의 등용을 배제하는 내용은 태조가 후삼국 통합의 전쟁에서 끝까지 저항하였던 일종의 ‘逆命者’ 집단을 노비와 진역잡척 등으로 삼았던 것과 상응하는 조치였다. 이에 훈요 8조 후반부의 내용을 태조가 ‘親授한’ 본래의 유훈으로 보았다. 그리고 전반부의 ‘차현이남 공주강외 지세배역론’은 후대의 정치적 필요에 의하여 변용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훈요 8조의 ‘차현이남 공주강외 지세배역론’이 등장하게 된 시기와 배경을 현종대의 정치상황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훈요 8조의 전반부에서 “(차현이남 공주강외) 州郡 사람들이 조정에 참여하고 王侯國戚과 혼인하여 國政을 잡게 되면 혹은 국가에 변란을 일으키거나 혹은 統合의 怨을 품고 국왕의 행차를 범하여 난을 일으킬 것이다”이라고 한 것은, 이 지역 출신(또는 관련된) 인물들이 현종대에 왕실과의 혼인을 계기로 갑자기 중용된 것에 대한 당시 관료들의 불만과 경계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훈요 8조의 앞부분은 원래 官寺奴婢와 津驛雜尺의 관직 불가조항에 덧붙여진 후대의 변용 결과로 판단한 것이다.

    영어초록

    Goryeo Taejo’s Eighth Injunction (Hunyo Paljo) points out ‘the people from the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and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as those who should not be appointed to the public office. Existing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explaining the former part of the Injunction to find out whether it was made according to King Taejo’s intention or political situation of posterity only. This study deals with not only the former but also the latter phrase to review if there was any modification.
    First, the study noticed the latter phrase of the Eight Injunction which got guard against the presumption that if government slaves or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got into the public office, they might rebel against the State, and understood that as King Taejo’s political policy differently from the former phrase of the Injunction, ‘the people as difficult as the terrain, the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The phrase which excluded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corresponds to King Taejo’s policy that he regarded as the ‘disobedient group’ who had resisted to the end at the war for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Thus, the latter part of the Injunction is regarded as King Taejo’s dying instruction ‘left personally’. And the latter part, ‘the people as difficult as the terrain, south of the Chahyun and beyond the Gongju river’ is regarded as modified according to political interests of the descendants.
    Next, the time and background that the Eighth Injunction appeared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period of King Hyeonjong’s reign. The former phrase, “If the people (south of Chahyun and beyond Gongju river)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or got married to royal family, they would rebel against the State or break out uprising with a grudge against the unification” was resulted from the guard or alert against the complaints from the officials because the people from the region were appointed as public office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onjong’s reign through royal weddings. That is, the former phrase of the Eighth Injunction resulted from a certain modification by adding to the existing phrase of the appointment against government slaves and low class from the pier and station made by the descend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