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의 첫 한문 번역 『초성학요』(超性學要)의 특징과 의의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Chao xing xue yao -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the Terms of Aristotle’s Philosophy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09
32P 미리보기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의 첫 한문 번역 『초성학요』(超性學要)의 특징과 의의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59권 / 2호 / 115 ~ 146페이지
    · 저자명 : 손은실

    초록

    이 연구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의 최초의 한문본인 『초성학요』(超性學要)를 소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먼저 역자인 루도비코 불리오의 생애를 소개하고, 『초성학요』의 번역 범위와 영향사를 다룬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불리오의 서문과 범례를 분석하여 번역의 특징을 밝히고, 『초성학요』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밝힌다.
    본고가 규명한 『초성학요』에 나타난 번역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초성학요』는 중국어와 서양 언어의 차이 그리고 동서양 문화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선행 번역서들에서 수십 년 간 축적되어 온 다양한 번역을 흥미롭게 결합하는 특징을 가진다. 둘째, 『초성학요』는 단순한 라틴어-중국어 번역에 머물지 않고, 텍스트를 문화적 맥락에 위치시켜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를 시도하는 ‘문화적 번역’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번역하고 주해한 텍스트만으로도 『초성학요』가 동서문화 교류 연구와 동아시아에서의 『신학대전』 수용 그리고 서양 개념어 번역의 비교 연구의 보고(寶庫)임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hao xing xue yao,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To this end, it first introduces the life of Ludovico Buligo, its translator (2), deals with the scope of translation and the influence of Chao xing xue yao (3), elucidates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with focus on Buligo’s own preface for the first ten volumes (自序) and explanatory notes (凡例) (4),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Chao xing xue yao (5).
    This study suggests that Buligo should proceed to the third part after completing the translation of the first part of Summa Theologiae, because the third part deals with Jesus Christ, and because the second part is too vast to translate in a short time and contains some ethical issues in conflict with Chinese traditional ethics. Furthermore, it is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udience that Buligo changes the order of the original text of each article in Summa Theologiae by introducing the authority, then proceeding to Thomas’ own answers, and finally presenting each objection with its solu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s for the terms for theologia, Buligo utilizes supernatural science (超性學) in addition to existent terms such as science of Tao (道科), science of heaven (天學), or a transliterated form (陡祿日亞) coined by his predecessors, and that this word succinctly summarizes the concept of theology formulated in Summa Theologiae I, 1, 1, c. Finally this study corroborates that in his explanatory remarks Buligo borrows the description of four causes, the definition of substance and accident, and ten categories from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Matteo Ricci with slight modifications. Besides the terms for ten categorie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y of Names (『名理探』), and Chao xing xue yao, these demonstrate that Buglio, borrowing the terminology made by his forerunners, modified and recontextualized some words. All these examples show that Chao xing xue yao clearly display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rough analyzing and expounding the tex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of Chao xing xue yao as treasure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s and as foundation for the study of reception history of Summa Theologiae as well as for the comparison of translation of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oncepts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