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喪禮備要』의 판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ditions of Sangryebi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8
41P 미리보기
『喪禮備要』의 판본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0호 / 329 ~ 369페이지
    · 저자명 : 장동우

    초록

    상례비요는 행례의 측면에서 17세 전반까지의 연구를 총결하였을 뿐 아니라, 이후 행례서의 연구를 선도한 기념비적인 저술이다. 상례비요는 가례의 체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古禮와 朱子의 定論 그리고 『가례』의 내적 정합성을 근거로 가례를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조선의 시속을 반영하여 가례를 현지화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국조오례의의 민간의례 관련 규정을 한 단계 진전시킨 저술이고, 이후 간행되는 행례서들은 상례비요를 典範으로 그 범위를 관례와 혼례로까지 확대하고 내용적으로 정련화하는 작업을 예외 없이 진행하기 때문이다.
    상례비요의 이러한 성취는 장기간에 걸친 전국적인 보급과 확산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지만, 이에 관한 전문적 연구는 1편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8종 이외에 10종을 추가한 18종의 이본을 대상으로, 문헌기록과 본문의 변화 그리고 부가된 두주의 내용을 근거로 간행연도를 추정하는 동시에, 간행지를 기준으로 각 계통 이본의 체재상⋅내용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보급 확산되는 양상을 좀 더 실재에 가깝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무자서원개간본이 간행된 1648년 이후 17세기 말까지 충청도, 함경도, 평안도, 제주도 등에서 최소 9차례 중간이 되면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18∼19세기에는 경상도를 중심으로 보급이 이루어지며 20세기에는 충청도가 다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8세기 이후의 양상은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간행된 이본을 찾는 작업을 통해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angryebiyo is a monumental work that summarizes the research of the first half of the 17th in terms of rituals. Although it is limited to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Sangryebiyo maintains the system of Family rituals as much as possible, and performs work to supplement 『Family rituals』 based on the the theory established by Zhu Xi in his later year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Family rituals. At the same time, it is a book that has advanc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urtesy of the private sector in Kukchooryeui by proceeding with the work of localizing Family rituals by reflecting the customs of Joseon. This is because it expands to coming-of-age ceremony and weddings and proceeds with refinement in terms of content without exception.
    This achievement of Sangryebiyo was supported by national dissemination and spread, but only one specialized study on it.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different editions targeted for analysis was not large, classification based on morphological matters was insufficient to show the wide spread and dissemination of Sangryebiyo.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8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10 editions were added, and 18 different edition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publications to try to show the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Sangryebiyo closer to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