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채원 외 (2024, 지질학회지, 60, 181-190) “행매층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이의 지질학적 중요성”의 반론에 대한 회답 (Reply to comments on “The new definition of Haengmae Formation and its geological significance” by Park et al. (2024,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0, 181-190))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7P 미리보기
박채원 외 (2024, 지질학회지, 60, 181-190) “행매층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이의 지질학적 중요성”의 반론에 대한 회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60권 / 4호 / 549 ~ 555페이지
    · 저자명 : 최성자

    초록

    Park et al. (2024)에 대한 Lee, B.S. (2024) 논평은 그의 논문(2018, 2019, 2020)들을 중심으로 기술하면서 실루리아기의 회동리층을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Lee, B.S.의 코노돈트 화석산출 지층과 분류의 불확실성, 북중국 일부 지역의 고착종을 분대 지표종으로 설정한 생층서 분대의 객관성 결여, 비논리적 생층서 대비 및 이해가 상충되는 논거들에 의한 중기 오르도비스기 행매층과중·상부 오르도비스기 회동리층의 정의는 그 의미를 잃어버렸으며, 지질조사 결과(Kim et al., 2020; Park et al., 2023)와도 대치된다. 국제적 검증 없는 Lee, B.S.의 코노돈트 개체들과 “Distomodus” kentuckyensis와 Pteropspathodus celloni 개체의 보존 상태를서로 비교·검토해 보면 그가 주장하는 상기 두 개체의 보존 상태에 대한 논평은 객관적 증거가 없는 주관적 견해이다. Lee, H.Y (1982, 1983)는 “Distomodus” kentuckyensis, Pteropspathodus celloni 등의 코노돈트종들을 원지모식표본과 비교·동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미의 전문가들로부터 국제적 검증을 철저하게 거친 결과로서, Lee, H.Y.의 “Distomodus” kentuckyensis와Pteropspathodus celloni의 분류는 논쟁거리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또한 Pteropspathodus celloni의 복합기구요소는 L3의 시료번호846으로부터 4개가 산출되었고 그 보존 상태는 조선누층군에서 산출되는 일반 코노돈트와 다를 바 없이 종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Lee, H.Y. (1982, 1983)이 설정한 두 개의 화석대는 유효하며, 회동리층은 실루리아기 후기 란도베리세 – 전기 웬록세이다. 행매층의 코노돈트는 타 지층과는 달리 산출 개체의 70% 이상이 불량할 뿐 만 아니라 쇄설성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코노돈트는 외원성으로 해석되어 행매층 형성 시기는 코노돈트가 지시하는 지질시대 이후이다.

    영어초록

    Lee, B.S. (2024) commented on the review of Park et al. (2024) and denied the Silurian Hoedong-ri Formation, focusing on his papers (2018, 2019, 2020). But the significance of the Middle Ordovician Haengmae Formation and the Middle to Upper Ordovician Hoedongri Formation has been lost due to uncertainties of fossil occurrence strata and conodont identification, biostratigraphy zonation by endemic species in North China, illogical biostratigraphy correlation and conflicting arguments. In addition to that, his stratigraphic sequence is either contradicted with the results of geological surveys (Kim et al., 2020; Park et al., 2023). When comparing the preservation status of Lee, B.S.'s conodonts without an international verification with Lee, H.Y.'s “Distomodus” kentuckyensis and Pteropspathodus celloni, his comments on the conservation status of Lee, H.Y.'s specimens are subjective assessments without objective evidence. Lee, H.Y. (1982, 1983) identified the conodont species, “Distomodus” kentuckyensis, Pteropspathodus celloni, etc., though compared with the topotype of the Cellon section, and also thoroughly verified internationally by expert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herefore, Lee, H.Y.'s conodont classification of “Distomodus” kentuckyensis and Pteropspathodus celloni cannot be the subject of controversy. Pteropspathodus celloni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consists of 4 multi-element apparatus derived from sample No. 846 of L3 section. Their preservation status is identifiable similarly to other conodonts from the Chosun Supergroup. Two conodont fauna of the Hoedongri Formation established by Lee, H.Y. (1982, 1983) are valid. Consequently, the Hoedongri Formation belongs to late Llandovery to early Wenlock. More than 70% of the poorly preserved conodonts in the Haengmae Formation represent allochtonous fossils, which are supported by the clastic rock type. Therefore, the Haengmae Formation must be post-conodont i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