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외담관 초음파검사의 주사방법 개선과 교육 후 주사 습득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chnical Approach Methods to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and of Following Effects from the Scan Train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8.06
12P 미리보기
간외담관 초음파검사의 주사방법 개선과 교육 후 주사 습득효과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31권 / 2호 / 149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인자, 강대현, 김보영

    초록

    목 적: 지금까지의 경복부 초음파를 이용한 간외담관에 대한 검사는 주로 담낭과 간외 담도, 즉 총수담관(CBD)만을 확인하는 수준의 검사가 전부인 것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저자들은 임상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간외담도의 비정상 확장에 대해 분석할 수 있고, 담도질환 유무 및 관련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접근 방법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새로운 이론을 기본으로 신뢰성 있는 검사 성적을 얻기 위하여 일정기간 교육 후 scanning 훈련을 시켜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서 담관질환 검사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코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 교육생 30명을 대상으로 간외담관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 근거하여 기술적 접근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전수한 후 학생 1인당 3시간(30분×6회)을 배당하여 scanning 훈련을 집중하였다. 교육 방법은 강사와 학생 1:1 방식으로 하였다. Scanning 훈련 후 평가 기준으로 모든 학생에게 5분 내에 간외담관 중에서 좌우 담관으로부터 ① 담낭관 합류부(간외담관 및 담낭관), ② 췌장 상부담관, ③ 췌두부내 담관, ④ 유두부내 공통관 등 네 분절을 명확하게 구분된 개념으로 scan하게 한 후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기존의 교육과 훈련 방식은 간외담관에 대한 경복부 초음파검사의 신뢰도가 매우 낮고, 췌장 상부 담관에만 국한적으로 영상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에 근거한 교육과 훈련을 마친 후 성적의 평가는 모든 학생(30명)이 ① 담낭관 합류부(간외담관 및 담낭관), ② 췌장 상부담관까지 객관성 있게 접근하였다. 24명의 학생이 ③ 췌두부내 담관 말단까지 접근하였으며, 1명의 학생만이 ④ 유두부내 공통관까지 영상화할 수 있었다.
    결 론: 간내외 담관의 평가는 간내인성, 담관성 그리고 병태생리학적 다면 평가가 이뤄져야 하지만, 경복부 초음파검사에 의해 간외담관을 유두부내 공통관까지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영상화시킬 수 있다면 단순 감별진단 목적으로 시행하는 ERCP같은 환자에게 고통이 수반된 침습적인 검사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자들이 제시한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간외 담관에 대한 기술적 접근 방법을 scanning 훈련하여 임상에 적용하게 된다면 초음파의 객관적인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bnormal dilatation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by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bile ducts diseas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and for it to give a new theoretical basis for the technical access to extrahepatic bile ducts, upon which to analyze the ripple effects of the scan training.
    After teaching technical access process based on the new theory about extrahepatic bile duct to the thirty students who are studying ultrasonography, we allocated three hours per one student (30mins× 6times) to focus on the training of scanning skill. Training has been performed by one-to-one method.
    For evaluation, all the students have to perform the scans on ① confluence of the right and left hepatic ducts(extrahepatic bile ducts and cystic duct), ②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③ the intrapancreatic bile duct, ④ intrapapilla Duct, based on the clearly divided concept.
    The existing training and methods have had low confidency about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and had limitation with which they could image only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The evaluation after finishing the train based on the new theory, however, all the students(30students) can access to ① confluence of the right and left hepatic ducts(extrahepatic bile ducts and cystic duct), ②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objectively. 24 students can access to ③ the intrapancreatic bile duct and only one student can even make an image for ④ the intrapapilla Duct
    Though the evaluation on extrahepatic bile duct has to be performed with multi-sided method considering intrahepatic cause, bile duct cause and pathophysiological cause, only if we can image the extrahepatic bile duct to ampular of Vater objectively and confidently, we can greatly reduce invasive procedure such as ERCP, which is for the purpose of simple differential diagnosis and painful to the patients. Therefore if we concentrate on the scanning train based on the new theory to raise the confidency about ultrasonography, the effect will be doub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후